-
-
대출인기
우리 안의 식민사관 : 해방되지 못한 역사, 그들은 어떻게 우리를 지배했는가
발행연도 - 2014 / 이덕일 지음 / 만권당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2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338150
-
ISBN
9791195326402
-
형태
407 p. 23 cm
-
한국십진분류
역사
>
아시아
>
한국
-
카테고리분류
인문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책소개
그동안 대한민국 주류 역사학계를 장악하고 조선총독부의 관점으로 대한민국 역사를 바라보고, 그 관점을 강단에 서서 전파해온 식민사학자들을 실명으로 비판하고, 그들의 학문적 태생에서 현재까지의 행적을 낱낱이 벗겨내며 대담하게 문제를 제기한 논쟁적인 책이다.
목차
머리말 - 다시 새로운 시작을 위하여
1장. 전쟁 중인 두 사관
1. 한 장의 지도가 말하는 두 개의 역사관
독립 운동가 사관과 조선총독부 사관 | 선각자로 둔갑한 매국노 이인직 | 훈민정음 해례본과 언문 철자법
2. 식민주의 사관의 계보
일제가 실증주의를 내세운 이유 | 도쿄제대의 시라토리 구라키치와 교토제대의 나이토 고난 | 제국주의 고고학 | 조선사편수회로 가는 길
3. 민족주의 사관의 계보
대종교와 민족사관 | 역사관의 혁명 | 사육신을 바꿔치기하려 한 사건
2장. 동북아역사재단이 던진 질문
1. 2012년 여름 경기도교육청 자료집 사건
총독부 산하로 착각하는 동북아역사재단 | 조선사편수회 식민사관 비판이 불편한 식민사학 | 간도는 원래부터 중국 영토였다는 동북아역사재단
2. 2009년, 『한국사, 그들이 숨긴 진실』에서 동북아역사재단에 물은 것
대한민국의 구조적인 식민사관
3. 서양사에서 본 실증사학 비판
3장. 한국 고대사는 늘 현대사였다
1. 동북아역사재단과 식민사학 해체 국민운동본부
한사군부터 시작하는 한국 고대사 | 일본 덴리(天理)교 예배에 참석한 이병도
2. 해방 후에도 이어진 식민사학 카르텔
해방 후에도 국내를 들락거린 조선사편수회의 일인들 | 공개 토론 제의를 거부하는 동북아역사재단
3. 『한국 고대사 속의 한사군』 내용 비판
아직도 살아 있는 사대주의 | 바잉턴이 동북아역사재단에 보내온 편지 | 한국 국회의원들을 꾸짖는 바잉턴 | 고조선 깎아내리기에 학문 인생을 건 송호정 | 그 밖의 저자들의 주장
4장. 식민사관의 생존 비법
1. 학계에서 정리가 끝났다고 우기기
1차 사료를 왜곡한다 | 학문적으로 이미 폐기된 ‘한사군 한반도설’
2. 사료 가치 폄하하기
엉뚱한 사료 인용하기 | 갈석산에서 만난 교포들과 서울대 노태돈 | 진나라 통일을 기념해서 제작한 『태강지리지』
3. 변형 이론 만들기
고조선 중심지 이동설이란 변형 이론
4. 이론이 다른 학자 죽이기
‘『삼국사기』 초기 기록 불신론’이 창작된 이유 | ‘『삼국사기』 초기 기록 불신론’과 싸운 최재석 | 임나일본부설이 사실이라는 김현구 | 김현구에게 수모당한 최재석
5. 발굴 결과 뒤집기 -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와 풍납토성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라는 비극 | 발굴 결과를 뒤집어라
5장. 식민사관 해체의 길
1. 식민사관은 구조의 문제다
너희 집안도 독립 운동했다는 말이냐? | 지하에 돌아가 수많은 선배와 동지들을 대할까 보냐
2. 일제 강점 찬양 처벌법이 필요하다
박유하의 『제국의 위안부』는 학술서적인가? | 순국선열의 날과 순국선열유족회
참고문헌
찾아보기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3 |
30대 | 1 |
40대 | 3 |
50대 | 3 |
60대 | 2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1 |
2017년 | 3 |
2018년 | 1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