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장 서론
1. ‘교부’라는 말의 의미
2. 어떤 사람들이 교부로 인정되는가?
3. 교부들에게서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4. 교부들을 어떻게 분류할 수 있는가?
5. 교부시대에 이루어진 중요한 사건 조사
제2장 속사도 교부
1. 예수 탄생에서 기독교 국교화까지의 세상 군주
2. 속사도 교부
1) 로마의 클레멘스
2) 안디옥의 이그나티우스
3) 서머나의 폴리캅
4) 히에라볼리의 파피아스
5) 바나바서의 저자
6) 로마의 헤르마스
3. 속사도 교부의 공헌과 문제점
1) 공헌
2) 문제점
제3장 초기 변증가
1. 변증가 출현의 역사적 배경
2. 초기 변증가들
1) 소아시아의 쿠아드라투스
2) 아리스티데스
3) 유스티누스
4) 타티아누스
5) 아테나고라스
6) 데오빌로
7) 멜리토
8) 디오그네투스
9) 마누키우스 펠릭스
3. 초기 변증가들의 공헌과 문제점
1) 공헌
2) 문제점
제4장 초기에 나타난 각종 학파
1. 서론
2. 각종 학파
1) 스토아 철학
2) 에피쿠로스 학파
3) 플라톤 철학
4) 영지주의
5) 마르키온 학파
6) 에비온주의
7) 몬타누스주의
3. 이들에 대한 평가
1) 긍정적인 면
2) 부정적인 면
제5장 반영지주의 교부와 알렉산드리아 교부
1. 서방의 반영지주의 교부
1) 이레나이우스
2) 테르툴리아누스
3) 히폴리투스
2. 동방 알렉산드리아의 교부
1) 판타이노스
2)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
3) 오리게네스
제6장 교회 조직과 의식 및 절기
1. 교회 조직
1) 주교직의 기초자 이그나티우스
2) 주교직을 계승, 발전시킨 자
3) 직제의 변화
2. 교회 예배
1) 예배 날짜
2) 예배 장소
3) 예배 순서
4) 정회원과 예비 회원이 구분된 예배
3. 교회 의식들
1) 침례가 세례로
2) 유아 세례
3) 주의 만찬이 성찬으로
4) 예배가 미사로
4. 교회 절기
1) 부활절
2) 성탄절
3) 사순절
5. 성도의 생활
1) 로마 제국의 부패와 기독교 도덕
2) 카타콤
제7장 니케아 전야의 교회
서론
1. 동·서방의 교부들
1) 동방의 교부들
(1) 여러 곳의 디오니시우스들
(2) 루키아누스
(3) 메토디우스
2) 서방의 교부들
(1) 로마의 노바티아누스
(2) 카르타고의 키프리아누스
(3) 니코메디아의 락탄티우스
2. 기독교의 로마 국교화
1) 기독교 박해의 역사
(1) 네로 황제
(2) 도미티아누스 황제
(3) 트라야누스 황제
(4) 하드리아누스 황제
(5) 안토니누스 피우스
(6) 세베루스 황제
(7) 막시미누스 황제
(8) 데키우스
(9) 발레리아누스
(10) 디오클레티아누스
2) 콘스탄티누스 황제의 기독교 국교화
(1) 콘스탄티누스 황제의 등장
(2) 콘스탄티누스 황제의 업적
3) 니케아 공의회 삼위일체 논쟁
(1) 니케아 공의회가 모이게 된 원인
(2) 니케아 공의회 회의장
(3) 니케아 공의회 회의 내용
3. 기독교 교리 논쟁
1) 니케아 공의회 이후의 싸움들
2) 200년 이상 계속된 기독론 논쟁
(1) 아폴리나리우스 논쟁
(2) 네스토리우스 논쟁
(3) 유티케스 논쟁
(4) 단성론 논쟁들
(5) 단의론 논쟁
4. 수도원주의의 발생
1) 수도원주의의 발생 원인
2) 수도원주의의 기초자
(1) 성 안토니우스
(2) 주상 성인 시므온
(3) 수도원 생활자 파코미우스
(4) 성 베네딕투스 수도회
(5) 기타
3) 수도원주의가 끼친 영향
(1) 수도원주의의 긍정적인 면
(2) 수도원주의의 부정적인 면
제8장 니케아 시대와 그 이후 교부들
1. 동방 및 희랍 교부
1) 가이사랴의 에우세비오스(유세비우스)
2)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우스
3) 예루살렘의 키릴루스
4) 카파도키아의 바실리우스
5) 나지안주스의 그레고리우스
6) 니사의 그레고리우스
7) 콘스탄티노플의 크리소스토무스
2. 서방 라틴 교부
1) 푸아티에의 힐라리우스
2) 밀라노의 암브로시우스
3) 히에로니무스(제롬)
4) 펠라기우스
5) 아우구스티누스
6) 도나투스파
3. 교황 제도의 도입
1) 교황 제도의 기원
2) 성직에 대한 교부들의 견해
3) 이방 나라에서 유래된 교황 제도
4) 교황 제도의 기초자
5) 최초의 교황 출발자
제9장 종합 결론
1. 교부들로부터 배울 점
1) 순교로 신앙을 계승시킨 사실
2) 정경 완성
3) 신학 형성의 기초
4) 최초의 성경적 역사관
5) 신약 교회의 모범을 지킨 아들
2. 교부들에게서 걸러내야 할 점
1) 오리게네스의 혼합주의
2) 아우구스티누스 신학의 문제점들
(1) 교회론 문제
(2) 성례전 신학
(3) 공적 신앙
(4) 종말론 신앙
(5) 이단에 대한 태도
3. 결론
교부시대 전과 당시의 연대표
참고 문헌
인명·지명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