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왜 사람은 특정한 언어를 배우려고 하는지, 왜 이 언어가 아니라 저 언어를 선택하는지, 어린이에게는 어떤 언어를 습득하게 하고 싶은지, 이러한 선택을 해야 할 때 사회에서 명백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는 ‘언어 이데올로기’가 사람의 행동 방향을 결정하는 것이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한국어판 서문
책머리에
제1장 언어라는 장치
말의 도구성
말의 힘
감정의말/말의 기계
단어연쇄장치와 로고크라시
제2장 문자에서 문체로-한자와 언어적 근대
“단일어Singlish” 우화
조선에서의 한자ㆍ한문
일본에서의 한자와 언어적 근대
한자 문제에서 문체 문제로
제3장 ‘도쿄어’ 표상의 성립
잃어버린 ‘교토어’ 의 위신
‘언어혼합’ 으로서의 ‘도쿄어’
표준어 정책과 도쿄어
제4장 야나기타 구니오와 ‘국어’ 의 사상
‘국어’와 ‘일국 민속학’-근대 비판과 내셔널리즘
‘표준어 제정’ 정책의 성립
‘선택’과 ‘동의’
‘표준어’와 ‘방언’ 의 개념
방언주권론方言周圈論과 언어지리학
지명의 권력
일본어와 일본인의 기원
제5장 ‘협의의 일본인과 ‘광의의 일본인’ -야마지 아이잔의『일본인민사』를 중심으로
‘일본인’ 이란 누구인가
야마지 아이잔의『일본인민사』
고대의 ‘일본제국’
아이잔의 ‘투란주의’
아이잔류 비교언어학과 진화론
맺음말
제6장 ‘정음’의 제국
음성으로서의 ‘국어’의 발견
‘정음’의 제국으로서의 ‘국어’
미국 ‘농아聾啞교육’의 전개와 시화법의 발명
‘시화법’과 이자와 슈지
제7장 국어학ㆍ언어학ㆍ국학
‘국어학’과 ‘국학’의 거리
유럽에서 문헌학과 언어학의 대립
도키에다 모토키의 언어학 비판
제8장 ‘국어’라는 말의 새로움
‘국어’라는 새로운 말
낱말인가 언어 전체인가?
보통명사인가 고유명사인가?
내부의 시점과 외부의 시점
국어와 조국
제9장 ‘일본어’와 ‘국어’의 틈새
일본어의 두 얼굴
식민지의 ‘국어’ㆍ제국의 ‘일본어’
‘국어/일본어’의 이분법
제10장 ‘일본어’에 대한 절망
‘질곡’으로서의 ‘국문학’
시가 나오야와 기타 잇키의 ‘일본어 폐지론’
제11장 ‘국어’와 언어적 공공성
‘국어’와 ‘일본어’
‘국어’와 ‘모어’
‘국어’와 글로벌리제이션
공용어와 언어적 공공성
글로벌리제이션과 내셔널리즘 사이에서
제12장 수화언어와 언어정책
소수자minority 언어로서의 수화
수화 언어정책-EU의 예
언어 육성과 언어 태도
제13장 다언어주의와 언어적 민주주의
근대국가과 ‘언어정책’
다언어 상황과 다원적 사회구조
다이글로시아와 기능 분담
후기
옮긴이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