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왜 니체인가?
니체, 어떻게 읽나?
제1장 생ㅡ처음이자 끝이다
1. 생의 철학
(1) 이성주의 비판
가. 이성
나. 오성
다. 지성
라. 의식
(2) 실증주의 비판
(3) 과학지상주의 비판
2. 생(명)
제2장 "신은 죽었다"
1. 플라톤의 두 세계 이론
2. 그리스도교의 두 세계 이론
3. “신은 죽었다”
제3장 선과 악을 넘어서
1. 선과 악, 좋음과 나쁨
(1) 선과 악의 유래
(2) 르상티망
2. 죄책, 형벌, 양심, 의무, 죄와 은총
(1) 죄책Schuld
(2) 형벌
(3) 양심
(4) 의무
(5) 죄, 그리고 은총
3. 이웃 사랑과 동정
(1) 이웃 사랑
(2) 동정
4. 자연은 도덕적 실체가 아니다
제4장 니힐리즘
1. 신의 죽음에서 오는 허무적 정황
2. 허무주의와 니힐리즘
3. 러시아 니힐리즘
4. 유럽 니힐리즘-허무주의
제5장 가치의 전도
제6장 “자연으로 돌아가라”
1. 칼리클레스의 ‘힘이 지배하는 자연’
2. 홉스의 무자비한 자연
3. 루소의 아름다운 자연
4. 니체의 ‘있는 그대로의 자연’
5. “자연으로 돌아가라!”
제7장 힘에의 의지
1. 해석상의 문제
(1) 형이상학적 원리로서의 힘에의 의지
(2) 자연철학적 원리로서의 힘에의 의지
가. 니체의 자연과학 학습
나. 힘 이론과 힘에의 의지
(3) 세속적 지배 의지로서의 힘에의 의지
2. 힘에의 의지
제8장 귀족주의
1. 니체의 귀족주의, 어디가지 지적인 것인가?
(1) 천민 종교 그리스도교
(2) 반계급적 무정부주의
(3) ‘민주주의’
가. 의회 제도
나. 사회주의
다. 대중 혁명
라. 대중 국가
마. 대중 교육과 대중문화
2. 니체의 귀족주의, 반인도적인가?
제9장 영원회귀
1. 해석상의 문제
(1) 형이상학적 순환 이론인가?
(2) 자연과학 이론인가?
가. 공간
나. 시간
다. 유한한 공간과 무한한 시간 속에서의 운동
(3) ‘과학’의 전제를 넘어
2. 이른바 ‘모순’의 문제
(1) 힘에의 의지와 모순되지 않는가?
(2) 위버멘쉬와 모순되지 않는가?
3. 그 밖의 문제들
(1) 같은 것이 회귀하는 세계-변화의 세계인가 존재의 세계인가?
(2) 불교의 윤회 사상과 어떤 영향 관계에 있는 것이 아닐까?
4. 영원회귀, 아직도 유효한가?
제10장 우주 허무주의
1. 허무주의
2. Amor fati(운명애)
제11장 위버멘쉬
1. 인간Mensch
(1) 인간은 미완의 존재, 하나의 가능성이다
(2) 인간은 하나의 과정이다
2. 인간 위의 인간, 위버멘쉬Über-Mensch
(1) 위버멘쉬에 이르는 길
가. 원숭이-인간-위버멘쉬
나. 낙타-사자-어린아이
다. 인간말종-“보다 지체 높은 인간”-위버멘쉬
(2) 위버멘쉬에 이르는 길-생물학적 진화의 길인가, 정신이 가야 할 정신의 길인가?
가. 위버멘쉬에 대한 생물학적 해석의 근거
나. 위버멘쉬에 대한 비생물학적, ‘정신적’ 해석의 근거
(3) 위버멘쉬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