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21세기는 이른바 ’초경쟁(Hyper-Competition)’의 시대이다. 이러한 경쟁 환경의 변화는 종래 우리가 누려왔던 질서, 개념의 카테고리, 패러다임을 송두리째 바꾸어놓았다. 이러한 초경쟁으로의 경영 환경 변화는 현재 추진하고 있는 경영혁신 추진체제에 심대한 영향을 끼치는 요소로 작용한다.
목차
프롤로그
제1장 경영혁신을 저해하는 걸림돌
1. 패션쇼는 끝나고
2. 혁신의 딜레마
1) ‘경영’과 ‘혁신’ 카테고리의 모호함
2) ‘효율’전략과 ‘창조’ 전략의 기로
3) ‘목적’과 ‘수단’의 불명확
4) ‘통합’과 ‘분산’의 선택
5) ‘톱다운’과 ‘바텀 업’의 전략적 선택
6) ‘기성형 혁신’과 ‘맞춤형 혁신’의 갈등
7) ‘고객 중시’와 ‘내부 중시’의 모순
8) ‘외부 역량’과 ‘내부 역량’의 활용
9) ‘전체최적화’와 ‘부분최적화’
10) ‘차별화’와 ‘표준화’
3. 혁신, 길을 잃다
4. 혁신의 아이러니
제2장 경영혁신이 미궁을 헤매는 원인
1. 초경쟁 경영 환경으로의 변화
2. 정태적 과녁에서 동태적 과녁으로, 단일 표적에서 복수 표적으로
3. 혁신의 카테고리 파괴
4. 게임의 룰이 바뀌고 있다
5. 혁신대응전략과 혁신방법론의 유연성 요구 증대
6. 혁신의 장애물
제3장 경영혁신의 새 길 찾기
1. 새것은 만능인가?
2. 혁신의 조류는 늘 변해왔다
1) 혁신의 발자취와 변천
2) 지역별․시대별 혁신의 초점의 차이 및 변화
3) 기업 내부의 혁신활동 변천
3. 세 가지 기본에서 새 길 찾기
1) 원점에서 새 길 찾기
2) 원리에 입각한 냉철한 분석
3) 원목적형 새 혁신 모델 탐색
제4장 경영혁신전략과 방법론의 새로운 전환
1. 패러다임 변화와 혁신전략의 방향
2. 혁신방법론의 슬기로운 선택
1) 혁신전략 방향 및 범위의 명확화
2) 수단과 목적이 전도되어서는 안 된다
3) 대박의 함정에서 벗어나 침착하게
4) 한물간 혁신방법론 없다
5) 내 몸에 맞는, 목적에 맞는 실사구시 혁신방법론
6) 기대 성과와 투입될 자원을 고려한 선정
3. 창조경영 추진 시 고려할 사항
1) 창조와 창의
2) 창조와 경영
3) 왜, 무엇을, 어떻게 창조할 것인가?
4) 창조경영의 프레임워크
5) 창조경영의 오해와 함정, 유념사항
제5장 전략적 맞춤형 경영혁신
1. 새로운 경영혁신방법론의 모색
2. 기존의 경영혁신 모델
3. 경영혁신의 영역 확장
4. 전략적 맞춤형 경영혁신 모델
1) 전략적 맞춤형 경영혁신이란 무엇인가?
2) 전략적 맞춤형 경영혁신 추진의 당위성과 강점
3) 전략적 맞춤형 경영혁신은 어떻게 추진하나?
4) 경영혁신의 맥가이버 칼
5) 새로운 3S3P 혁신 모델
5. 전략적 맞춤형 경영혁신의 영역 및 역할 분담
6. 전략적 맞춤형 경영혁신의 전개 방법론
1) 전략적 맞춤형 경영혁신 1단계
2) 전략적 맞춤형 경영혁신 2단계
제6장 전략적 맞춤형 경영혁신 모듈별 유념사항
1. 전략 혁신
2. 구조 혁신
3. 시스템 혁신
4. 제품 혁신
5. 프로세스 혁신
1) 프로세스 개선
2) 프로세스 혁신
6. 인적 역량 혁신
1) 의식
2) 역량
3) 문화
에필로그
주
찾아보기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