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현대시에 대한 이해, 근대를 바라보는 또다른 시선. 근대로 나아가는 도정에 놓인 일련의 소재와 주제, 혹은 방법적 의장을 탐색했다. 이 책의 가치랄까 의미는 근대성의 탐색과 관련이 있다. 그것은 지금 여기의 존재들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목차
머리말
제1부
애국계몽주의와 근대시
1. 위기와 계몽
2. 문명개화의 의지―‘바다’와 ‘철도’, 그리고 ‘소년’
3. 조선주의라는 자의식의 등장
유미주의와 순수시
1. 미적 욕망
2. 세계 너머의 절대 순수
3. 세계 내 순수의 세계
4. ‘죽음’의 세계와 현실, 그리고 미의식
전원시와 목가적 유토피아
1. 도시문학의 안티테제로서의 전원시
2. 반근대로서의 전원시
3. 유토피아로서의 전원시
4. 현실도피로서의 전원시
자연과 낭만적 이상주의
1. 낭만주의의 개념적 특성
2. 한국시에서의 낭만주의
3. 낭만주의의 시적 구현
1930년대의 시와 리얼리즘
1. 시와 현실성
2. 리얼리즘 시의 등장
3. 단편서사시의 장르적 성격
4. 한국시에서 리얼리즘의 의의
1930년대의 시와 모더니즘
1. 논의의 배경과 초점
2. 한국 모더니즘의 수용과 전개
3. 1930년대 모더니즘 문학의 특성
4. 1930년대 모더니즘 문학의 의의
생명파와 생명의지의 구현
1. 생명파와 생명의 문제
2. 존재론적 측면에서의 생명의 의미
3. 사회적 외연이 확장된 생명의 의미
제2부
실존적 한계와 낙원의식
1. 현대와 유토피아
2. 낭만주의적 꿈과 이상
3. 근대와 유토피아
4. 현실과 실천으로서의 유토피아
5. 서정시에서의 유토피아의 의의
근대시의 반대륙성과 바다지향성의 의미
1. 근대와 바다
2. 근대의 계승과 좌절로서의 바다
3. 근대의 부정적 좌표로서의 바다
4. 현대시에서의 바다의 의의
존재의 근원으로서의 땅(흙)의 의미
1. 문학 속의 흙
2. 종교적 대상으로서의 흙의 의미
3. 반도시 정서로서의 흙의 시학
4. 이데올로기서의 흙의 시학
5. 역사철학적 의미로서의 흙
불교적 윤회와 윤리성의 시적 구현
1. 문학과 불교
2. 평등 지평으로서의 불교와 『님의 침묵』의 세계
3. 형이상학적 초월로서의 윤회의 의미
4. 허무의식 혹은 구도로서의 무소유의 감각
5. 불교적 상상력의 시사적 의의
제3부
해체담론과 근대성의 관계
1. 해체의 근대적 의미
2. 해체철학의 계보학
3. 해체의 정신과 방법
4. 근대시사와 해체시의 구현
시의 시간성의 구현과 그 의미
1. 현대시와 시간성
2. 시간의 두가지 의미맥락
1) 문학적 시간과 자연적 시간
2) 시간의 근대적 맥락
3. 현대시에 구현된 시간의 맥락들
1) 서정시와 시간의 지속
2) 서정시와 무시간성
시적 감각와 시어의 특성
1. 낯설게하기와 인식 감각의 확장
2. 신비평과 정서적 순화의 언어
3. 시어의 사회성
4. 시어의 탈구조성
서정시학의 이념적 특성
1. 서정주 문학에서의 시론의 위치
2. 동양적 세계내의 시 창작법
1) 지, 정의 통합과 시심의 표현
2) 시각적 영상과 운율의 창조
3. 동양적 시세계의 특성과 안정된 서정성
4. 서정주의 서정 시학
『만인보』의 장르적 성격
1. 『만인보』의 자계와 시적 의장
2. 이야기 시의 계통과 『만인보』
3. 『만인보』의 장르적 특성과 그 시사적 의미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