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해제
1. 오리게네스의 생애
1.1. 알렉산드리아의 오리게네스
1.2. 오리게네스와 데메트리우스의 긴장
1.3. 카이사리아의 오리게네스
2. 오리게네스의 저서
2.1. 저서 개괄
2.2. 저술 장소와 시기
2.3. 남아 있는 저서
3. 오리게네스의 저서 목록과 편집본, 번역본
4. 오리게네스와 『원리론』의 영향사
4.1. 3~5세기 오리게네스 찬반 논쟁
4.2. 오리게네스 첫째 논쟁
4.3. 오리게네스 둘째 논쟁
4.4. 6세기 이후의 오리게네스 영향
5. 『원리론』
5.1. 『원리론』의 저술 시기
5.2. 오늘날의 의의와 당시의 독자
5.3. 『원리론』 제목의 의미
5.4. 『원리론』의 구조
5.5. 『원리론』 본문
5.5.1. 『필로칼리아』
5.5.2. 루피누스의 라틴어 역본
5.5.3. 히에로니무스의 번역과 단편
5.5.4. 유스티니아누스의 인용
5.5.5. 포티우스의 『저서 평론』
6. 오리게네스의 인간 이해
6.1. 성경의 인간 이해
6.2. 오리게네스의 삼분법적 인간학
6.3. 하느님 모상에 인간의 참여
6.4. ‘누스’(vouç, mens)의 번역 문제
7. 교부들의 성경 해석- 오리게네스를 중심으로
7.1. 고대 해석학에 관한 용어와 원칙
7.2. 오리게네스 이전의 주석
7.2.1. 사도 교부들의 주석
7.2.2. 영지주의자들의 주석
7.2.3. 유스티누스와 이레네우스의 주석
7.2.4.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의 주석
7.3. 오리게네스의 주석
7.3.1. 성경 해석 방법
7.3.2. 알레고리의 필연성과 성경의 이해
7.3.3. 성경의 영감과 교회의 전통
7.4. 오리게네스의 영향과 반작용
7.5. 성경의 올바른 이해
8. 참고문헌
본문과 각주
루피누스의 머리말
제1권
서론
성부와 성자(그리스도)와 성령
1장 하느님
2장 그리스도
3장 성령
4장
[강등과 타락]
[피조물과 창조]
5장 이성적 본성들
[적대 세력들]
6장 [종말 또는 완성]
7장
[비육체적 존재와 육체적 존재]
[별들]
8장 천사들
제2권
1장
세상과 그 안에 있는 피조물들(그리스어)
세상(라틴어)
2장 [육체적 본성의 영원성]
3장 [세상의 시작과 그 원인들]
4장
율법과 예언서의 하느님은 한 분이시고 구약성경과 신약성경의 하느님은 같은 분이시다 (그리스어)
율법과 예언서의 하느님과 주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는 한 분이시다(라틴어)
5장 [의인과 선인]
6장
구원자의 육화(그리스어)
그리스도의 육화(라틴어)
7장 같은 성령이 모세와 다른 예언자들과 거룩한 사도들 안에 있었다(그리스어)
[성령](라틴어)
8장 영혼
9장 세상과, 선하거나 악한 이성적 피조물들의 움직임과 그 원인
10장
부활(그리스어)
심판(라틴어)
11장 약속들
제3권
루피누스의 머리말
1장
자유의지, 이를 부인하는 듯한 성경 본문들에 대한 풀이와 설명 (그리스어)
자유의지 (루피누스의 라틴어 역본)
2장
성경에서 악마와 적대 세력들이 어떻게 인류와 맞서 싸우는가?(그리스어)
적대 세력들(라틴어)
3장 지혜의 세 가지 형태
4장 [사람들이] 각각 두 영혼을 지니고 있다는 어떤 이들의 말이 옳은가?
5장
시대 안에서 시작되었기에 세상은 생성되었고 소멸한다(그리스어)
시대 안에서 시작된 세상(라틴어)
6장
종말(그리스어)
세상의 완성(라틴어)
제4권
1장
성경은 거룩하다. … 성경을 어떻게 읽고 이해해야 하는가? (포티우스)
성경의 영감[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며], 성경을 어떻게 읽고 이해해야 하는가? 성경이 불명료하고, 문자에 따라 여러 구절의 [해석이] 불가능하며 불합리한 이유는 무엇인가? (『필로칼리아』 1)
2장 성경을 어떻게 읽고 이해해야 하는가?
3장 성경이 모호한 이유, 그리고 몇 구절에서 문자적 의미가 불가능하거나 이성적이 아닌 이유
루피누스의 라틴어 역본 4,1-4,4
1장 신적 영감을 받은 성경
2장 성경을 영적으로 이해하지 못하고 잘못 해석한 많은 이가 이단에 빠졌다
3장 성경을 이해하는 방법에 관해 성경에서 이끌어낸 실례들
4장 성부와 성자와 성령, 그리고 앞에서 다룬 다른 주제들에 관한 요약
찾아보기
저자·저서명
인명·주제
성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