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약어
들어가는 말
제1부 정의에 대한 관념
제1장 종합부동산세
제2장 자유주의와 자유지상주의
제3장 공화주의와 공동체주의
제4장 목적론과 선
제2부 자유와 평등
제5장 평등의 폐해
제6장 재산권
1. 재산권의 정당화
(1) 모어
(2) 프루동
(3) 홉스
(4) 로크
(5) 흄과 존 스튜어트 밀
(6) 칸트
(7) 헤겔
(8) 마르크스
(9) 강제된 노동
(10) 상속권
2. 재산권의 한계
(1) 홉스
(2) 로크
(3) 루소
(4) 재산권의 절대성
(5) 재산의 재분배
제7장 복지 국가의 대두
1. 새로운 자유주의와 공리주의
2. 사회민주주의
3. 노동 계급의 투쟁
4. 국민 국가의 형성
제8장 자유주의의 변모
1. 고전적 자유주의
2. 수정주의적 자유주의
제9장 민주주의의의 대두와 발전
1. 그리스의 기원
2. 도시 국가 이후
3. 혁명의 시대와 그 후
4. 대증민주주의의 위협과 기대
5. 최근의 개념
6. 민주주의의 문제점
제10장 복지권의 근거와 한계
1. 그로티우스와 푸펜도르프
2. 아퀴나스와 로크
3. 칸트
4. 잉여가치설
5. 공리주의와 한계효용
6. 노동 분업을 통한 사회적 협업
7. 적극적 자유의 행사
8. 지구의 주주
9. 복지의 수준과 한계
제11장 자유와 평등
1. 사유재산제의 장단점
2. 재산, 권력, 자유
3. 자유와 평등의 조화
(1) 고전적 자유주의적인 평등
(2) 존 스튜어트 밀, 공리주의 그리고 고전적 자유주의
(3) 자유와 경제적 평등
(4) 수정주의적 자유주의
(5) 자유민주주의적인 복지 국가
(6) 평등에 대한 주장의 근거
(7) 재산권, 자유와 평등
(8) 사회적 평등과 자유
(9) 평등한 시티즌십
(10)민주 공화국의 부담
(11) 자유와 평등 보장을 위한 제도
제3부 정의
제12장 정의라는 관념의 역사
1. 고대
2. 고대 그리스
(1) 플라톤-영혼과 국가에서의 조화
(2) 피타고라스와 소피스트
(3) 응보
(4) 아리스토텔레스-공적에 따른 평등
3. 스토아학파
4. 그리스도교 사상 및 중세
5. 근대
(1) 그로티우스-사교성과 자기 보전
(2) 홉스-계약의 준수
(3) 로크-자연권의 보장
(4) 응분 주장에 대한 고전적 자유주의의 양면성
6. 공리주의
(1) 흄-권리라는 원칙
(2) 애덤 스미스
(3) 벤담
(4) 존 스튜어트 밀
7. 칸트
8. 사회 정의
(1) 생시몽
(2) 허버트 스펜서-응분이라는 원칙
(3) 마르크스와 엥겔스-필요라는 원칙
(4) 응분의 원칙과 필요의 원칙
9. 헤겔
10. 수정주의적 자유주의
(1) 발전, 자유, 복지
(2) 시민적 정의와 조장적 사회 정의
(3) 다원적인 수정주의적 자유주의
11. 권리에 대한 호펠드의 분석
12. 고대의 정의와 근대의 정의
13. 정의와 덕성
제13장 정의의 세 가지 구성 요소
1. 평등
(1) 기회의 평등과 결과의 평등
(2) 배분적 평등과 사회적 평등
(3) 인간의 평등한 존엄성
2. 자유
3. 효율
4. 평등, 자유, 효율 그리고 정의
제14장 정의의 세 가지 원칙
1. 권리
(1) 정의, 권리, 법
(2) 법적 권리와 도덕적 권리
(3) 권리를 가진다는 것
(4) 권리라는 개념
(5) 실정적 권리와 이상적 권리
(6) 실정권과 정의
(7) 권리로 포장된 필요와 응분
2. 응분
(1) 권리, 응분, 필요
(2) 응분의 근거
(3) 권리, 응분, 정의
(4) 응분이라는 관념의 역사
(5) 응분의 구성 요소
(6) 다른 개념과의 관계
3. 필요
(1) 필요라는 개념
(2) 필요, 정의, 평등
참고문헌
찾아보기- 인명
찾아보기- 용어·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