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문화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문단에 나온 문학평론가 이경재의 세 번째 평론집. 이번 평론집은 문학 현장에 가능한 밀착하여 새롭게 형성되어 가는 우리 시대 문학의 의미를 미시적으로 살펴본 결과물이다.
목차
책머리에
1부 소설(가)의 자기성찰 2000년대 소설의 기원과 특징 - 정이현·김애란 소설가의 두 가지 행로 - 김이설·김애란 위기와 소설 - 편혜영, 김이설·박형서 메타소설의 변신 - 이기호·성석제·조현 명명(命名)하는 자의 고통과 보람 - 이기호·구경미·김연수 마르케스주의자의 변신 - 손홍규 소설을 만들어 내는 교양의 힘 - 박민규·김금희·김연수 말할 수 없는, 그러나 말해야 하는 - 정찬
2부 관계의 시학 세 가지 빛깔의 모성(母性) - 이청준·이현수·박완서 스무 살의 윤리 - 김애란·박원·은희경 관계의 시학 - 권여선·이호철·박금산 인간은 노력하는 한 방황한다 - 현기영·한창훈·이상섭 윤리를 시험하는 기억 - 최수철·백영옥·백가흠 신비주의의 오늘 - 오수연·정찬 모두이면서 하나인 이야기 - 김경
3부 현실과 정치 손녀의 무릎을 베고 누운 할아버지 - 김경욱 우리는 인간인가? - 정용준 I’m fine, thanks - 정찬·정미경·박민규 이분법의 예각 - 이장욱·천정완·권여선 Real에서 Reality로 - 최민우·한창훈·최윤 불행의 기원 - 이승우·김영하·이기호
4부 한국문학과 로컬리티-인천을 중심으로 한국 근대소설에 나타난 인천 - 강경애·현덕·오정희 세상을 끌어안고도 남는 넉넉한 품 - 인천의 문학 현장 1:김진초 경계에서 세상 보기 - 인천의 문학 현장 2:이목연 세상을 바라보는 두 가지 시선 - 인천의 문학 현장 3:홍인기·조혁신 경계를 넘어, 세계를 향해 - 알라 참관기
5부 비평의 현장 한국 근대문학이 일본에서 읽고 배운 것 - 김윤식 지구적 세계문학을 위한 첫 번째 발걸음 - 김재용 머무르지 않는 논리의 힘 - 방민호 종언에 응전하는 젊은 비평의 현주소 - 함돈균·복도훈
보론 종말을 기도하는 자의 손목 자르기 - 사사키 아타루 한국 현대시와 말년성(lateness)의 양상 - 허만하·고은·신경림·오규원
서가브라우징
(2013 오늘의 문제 평론)비등하는 역사, 결빙의 현실2013 / 오창은 ; 맹문재 [공]엮음 / 푸른사상사
지극히 문학적인 취향 : 한국문학의 정상성을 묻다2019 / 지음: 오혜진 / 오월의봄
프로테우스의 탈주 : 접속 시대의 상상력 : 우찬제 비평집2010 / 우찬제 지음 / 문학과지성사
프로테우스의 탈주 : 접속 시대의 상상력 : 우찬제 비평집2010 / 우찬제 지음 / 문학과지성사
문학과 의학의 접경 : 의료문학의 이론과 쟁점 = Contact zones between literature and medicine : theories and controversies in literature and medicine 2023 / 지음: 이병훈 / 소명출판
문학과 의학의 접경 : 의료문학의 이론과 쟁점 = Contact zones between literature and medicine : theories and controversies in literature and medicine 2023 / 지음: 이병훈 / 소명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