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ㆍ프롤로그_ 충선왕 연보
ㆍ고려 왕실 세계
ㆍ몽골 왕실 세계
제1장 부마 국왕과 세자
1. 부마국 체제의 성립
충렬왕의 콤플렉스
충렬왕과 원 공주의 결혼
부마국 체제
혼혈 왕자의 탄생
부마국 체제의 첨병, 원 공주의 수행원
2. 충렬왕의 측근 정치
군사 시위, 사냥에 동원된 응방
국왕 친위대, 기쁨조 홀치
국왕을 비판하다 파직당한 이승휴
필도적과 신문색
국왕의 수족들, 내료
내관 고종수, 충렬왕의 정치적 경호관
숨은 실력자, 환관
드러난 실력자, 역관
국제어, 몽골어보다는 한어
몽골어 실력으로 출세한 조인규
그 밖의 특별한 사람들
군공으로 출세한 사람들
실권 없는 수상들
3. 충선왕의 세자 시절
세자, 이지리부카
소년 시절의 세자
제국으로 향하는 행렬
세자의 결혼
세자와 쿠빌라이의 대면
세자의 진정한 후견인, 정가신
세조 쿠빌라이의 죽음
새로운 황제 성종과 충렬왕 그리고 세자
제2장_ 중조, 폐위와 복위
1. 떠오르는 세자
세자의 정치 입문
세자의 정치
세자, 원 공주와 결혼
깊어가는 부마국 체제
충렬왕비, 제국대장공주의 죽음
왕위를 가로챈 충선왕
2. 충선왕의 개혁 정치
충선왕의 즉위, 개혁 교서 반포
인사행정을 바로잡아라
백성 착취를 금하라
권세가의 대토지 소유
농장으로 흘러들어가는 유망 농민
기타 사항 악폐 문제
개혁의 시작, 핵심 참모 4학사
새로운 권력 기구, 사림원
관제 개혁
개혁의 첫 작품, 인사발령
3. 충선왕 폐위, 갈등의 시작
미묘한 사건, 개혁에 대한 저항
충선왕 소환령
강제 폐위, 고약하고 나쁜 선례
충선왕의 개혁, 어떻게 볼 것인가
개혁, 다시 원점으로
제3장_ 책략, 혼미한 정치
1. 깊어지는 갈등
한희유 무고사건
충렬왕과 쌍화점곡
정동행성 강화, 내정 간섭
노비제도를 개혁하라
활리길사 파면
국정쇄신 요구
무분별한 관리 인사
오잠 사건, 이상한 쿠데타
2. 혼미한 정치
음모의 서막
충선왕을 음해하는 송씨 일족
백지 밀서 사건
궁지에 몰린 충렬왕
정치 일신, 유학의 진흥을 꾀하다
환관 이복수
충렬왕의 마지막 입원
3. 성종 테무르 시대의 정치
성종의 집권과 카이두 정벌
성종과 황태후, 그리고 충선왕
성종과 불루간 황후, 우승상 하루가순
성종 말년의 후계 구도
4. 공주 개가 책동
왕 부자의 만남
다시 시작되는 이간질
신주 문제가 마음에 걸린 충렬왕
벽에 부딪힌 공주 개가 책동
한희유와 홍자번의 죽음
환국을 거부하는 충렬왕
다시 반전
독살 실패, 충선왕의 승리
제4장_ 복위, 원격 통치
1. 충선왕의 원 무종 옹립
충선왕의 입원 숙위
카이산 형제와 충선왕
충선왕과 아유르바르와다
충선왕의 행적
카이산을 황제로
충선왕은 어떤 기여를 했을까
정책 제일 공신
심양왕으로 책봉
무종의 치세
2. 복위
충선왕의 고려 국정 장악
허수아비 충렬왕
10년 만의 환국, 복위
복위 직후 야릇한 일들
뒤늦은 복위 교서
갈팡질팡 관직 개편
반복되는 측근 챙기기
충선왕에 대한 살해 기도
충선왕의 복심 박경량
왕실과 통혼할 수 있는 가문
전농사 설치
3. 원격 통치
다시 원으로
소금 전매제도
수시로 행해지는 인사발령
득세하는 환관들
방만한 불교 행사
충선왕의 여자, 숙비와 순비
세자를 죽이다
충선왕의 환국 문제
고려 왕위를 벗어 던진 충선왕
제5장_충선왕과 만권당
1. 상왕 충선왕
충선왕과 충숙왕
불교에 빠진 상왕
다시 원으로
방치할 수 없는 고려 국정
다시 토지 문제
2. 만권당
만권당의 설치
만권당과 제미기덕당
만권당과 한중 문화 교류
만권당에 참여한 원대의 명사들
충선왕과 인종 그리고 만권당
원의 과거제 도입
제사 파스파와 라마교
파스파의 사당 건립 문제
제국의 수상을 제의받다
충선왕의 대도 3인방
그 밖에 만권당에 참여한 사람들
충선왕의 자긍심 이제현
제과 응시자와 만권당
3. 티벳 유배
보타산 기행
인종의 죽음과 그의 치세
영종의 즉위와 충선왕
환국 거부, 티벳 유배
고난의 유배 길
감형, 도스마
도스마로 향하는 이제현
방환, 다시 대도로
죽어서야 고려에 돌아오다
ㆍ에필로그-충선왕 약전
ㆍ참고문헌
ㆍ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