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노동운동과 평생을 함께해 온 김금수 선생이 현장의 노동운동가들과 함께 만들어 낸 책. 평생을 한국 노동운동과 함께해 온 저자가, 지난 10여 년간 현장의 노동운동가들과 함께 진행해 온 세계노동운동사에 대한 학습과 토론의 결과이자, 그 연구 성과다.
목차
제8부 제1차 세계대전과 대중적 노동자계급 운동
1장 제1차 세계대전의 기원
1. 제1차 세계대전의 배경
2. 제1차 세계대전의 경과
2장 전시경제와 노동자 상태
1. 전시경제
2. 노동자의 상태
3장 세계대전 시기 노동자계급의 투쟁
1. 러시아
2. 독일
3. 프랑스
4. 영국
5. 오스트리아-헝가리제국
6. 이탈리아
7. 미국
8. 유럽의 중립국들
9. 제1차 세계대전 중의 노동조합
제9부 러시아 사회주의혁명과 국제 노동자계급
1장 1917년 러시아 부르주아민주주의혁명
1. 혁명 전야의 러시아
2. 차르 전제에 대한 혁명적 투쟁
3. 노동자·병사 대표 소비에트 창설과 이중권력의 성립
4. 사회주의혁명의 예비 단계
2장 '이중권력 시기' 혁명의 성장·전화
1. 차리즘 붕괴 이후의 국내외 정세
2. 레닌의 “4월 테제”
3. 권력의 향한 노동자계급의 투쟁
4. 혁명의 평화적 시기와 무장봉기 방침
3장 10월 사회주의혁명의 승리와 그 의의
1. 10월 사회주의혁명의 승리
2. 10월 사회주의혁명의 승리와 그 의의
제10부 세계 노동자계급의 투쟁 전선 확대
1장 반전투쟁 고양과 각국에서 진행된 혁명: 반혁명 정세
1. 반전투쟁과 사회적 요구 투쟁의 고양
2. 유럽에서 조성된 혁명과 반혁명의 정세
2장 코민테른 창립
1. 제3인터내셔설의 창립
2. 코민테른 제2회 대회
제11부 노동자계급과 민족해방투쟁
1장 아시아 국가 노동자계급과 민족해방투쟁
1. 중국
2. 인도
3. 인도차이나
4. 필리핀
5. 인도네시아
6. 조선
2장 라틴아메리카 국가 노동자계급의 혁명투쟁
1. 제1차 세계대전과 노동자계급
2. 주요 각국의 노동운동
3. 사회주의운동과 멕시코혁명
3장 아프리카 국가 노동자계급의 반제국주의 투쟁
1. 이집트
2. 알제리
3. 튀니지
4. 중앙아프리카
5. 남아프리카
제12부 경제 위기와 노동자계급의 통일 행동
1장 자본주의국가들의 경제 위기와 파시즘의 대두
1. 제1차 세계대전 이후의 경제 위기
2. 주요 자본주의국가의 경제 성장과 노동자투쟁
3. 이탈리아에서 대두한 파시즘
2장 코민테른 제3, 4회 대회와 노동자계급의 통일 행동 문제
1. 노동운동의 대내외적 정세
2. 코민테른 제3회 대회와 노동자통일전선
3. 코민테른 제4회 대회와 노동자 정부 문제
제13부 소비에트러시아의 방위와 '신경제정책'
1장 소비에트 공화국의 방위
1. 외국의 군사 간섭과 내전
2. 전시공산주의
2장 새로운 경제정책의 강구
1. 내전 종식 후의 국내외 정세와 국민경제 부흥을 위한 당내의 논쟁
2. 제10회 당대회와 신경제정책의 시행
3. 경제 부흥과 소비에트연방의 창설
제14부 제1차, 제2차 세계대전의 노동 상황과 자본주의 일시적 안정기의 노동운동
1장 자본주의국가 노동자계급의 정치·사회적 상황
1. 노동자계급의 수와 구성 변화
2. 노동자계급의 상태
3. 투쟁과 조직
2장 자본주의 일시적 안정기의 유럽 노동운동
1. 자본주의 안정 속의 모순 증대
2. 서유럽 국가들에서 전개된 노동운동
3. 중앙유럽과 동남 유럽 국가들에서 전개된 대중투쟁
4. 북유럽 국가들에서 전개된 노동운동
5. 파시즘과 반동에 대한 저항
3장 미국·캐나다·일본의 노동자계급 투쟁
1. 미국
2. 캐나다
3. 일본
참고문헌
인명 찾아보기
조직명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