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까지가 고전·명작 일까? 유명한 문학상을 받았다 하여 다 정전 취급을 받는 것도 아니요, 오래된 작품이라고 모두 시대적 가치를 초월한 문학적 가치를 인정받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이러한 고민을 담은 연구서 <정전 형성의 논리>가 출간되었다.
목차
책머리에
제1부 정전(연구)의 새로운 지평 ― 정전성의 정치학 / 박상진 1. 정전의 정전성 2. 서양 정전(연구)의 계보 3. 정전 연구의 지평 4. 정전성의 정치학 (비평)이론과 정전, (비평)이론의 정전 / 윤혜준 1. 들어가며 2. 이글튼 3. 비평이론과 정전 4. (비평)이론의 정전 5. 나가며 고전의 번역과 대중화, 그 현실과 전망 / 김풍기 1. 고전의 두 얼굴 2. 고전 번역의 방식과 그 의미 3. 고전의 해석과 훼손 사이 : 정전의 계승과 새로운 정전의 발견 4. 새로운 고전의 발견 1920~30년대 시조의 재인식과 정전화 과정 / 이형대 1. 서론 2. 근대계몽기, 국권회복의 기획과 시조의 위상 3. 1920∼30년대 국민문학으로서 시조의 재발견과 정전화 과정 4. 선택 빈도 통계를 통해 본 개별 작품의 정전적 위상 5. 결론 김태준의 시가사 인식과 고려가사의 정전화 양상 / 김승우 1. 들어가며 2. 고려시대에 대한 초기 국문학사의 시각 3. 김태준의 시가사 인식과 '고려가사'의 성립 4. 나가며 : 고려가사 논의의 향방과 의의 『송강가사』에 대한 가람 이병기의 비평과 정전화의 실제 / 김윤희 1. 서론 2. 가람 이병기의 「『송강가사』의 연구」와 실천적 고전 비평 3. 『송강가사』의 해석 및 비평을 통해 본 정전화의 실제 4. 결론 고전소설의 근대적 재인식과 정전화 과정 ― 1920~30년대를 중심으로 / 강상순 1. 들어가며 2. 근대 이전 정전 체계 속에서 소설의 위상 3. 1900∼10년대 소설 장르의 재발견과 고전소설 부정론 4. 1920∼30년대 고전소설의 역사화와 고전적 가치의 재인식 5. 나가며 19C 말~20C 초 영역 작업을 통해 본 외국인의 한국 고전문학 인식 / 오윤선 1. 들어가며 2. 19C 말∼20C 초 국외에 영역 소개된 한국 고전문학 3. 외국인의 한국설화 영역태도 4. 외국인의 왜곡된 한국문화 묘사 5. 나가며
제2부 중국 정전의 성립과 변천 : 유가 경전을 중심으로 / 김장환·이영섭 1. 동양의 정전인 경전의 탄생 2. 경전 해석의 전개와 변천 3. 경전과 현대사회 일본 사소설의 정전 형성 : 『이불』을 중심으로 / 안영희 1. 서론 2. 사소설의 탄생과 『이불』의 정전화 3. 『이불』과 독자 4. 근대 그리고 젠더 5. 결론 남부 아프리카의 구전문학과 현대적 전유의 가능성 / 이석호 1. 서론 : 문학사 기술의 어려움 2. 남부 아프리카와 구전 혹은 구연의 배경 3. 남부 아프리카의 구전문학과 관련한 연구사 전통 4. 남부 아프리카 구전문학의 4단계 분석틀 5. 구전의 현대적 전유 6. 결론을 대신하여 스페인 중세 문학과 정전 / 백승욱 1. 들어가며 2. 알폰소 현왕과 13세기 언어 개혁 : 스페인문학 정전의 생성 3. 15세기 문학 정전과 스페인문학사의 확립 4. 스페인 중세 문학의 근현대적 재구성 5. 나가며 라틴아메리카문학 정전의 형성과 새로운 가능성 : 소외된 문학 장르의 정전화에 대한 소고 / 백승욱 1. 들어가며 2. 라틴아메리카문학 정전 논의와 문제점 3. 라틴아메리카문학 정전과 정전화 4. 나가며 토대를 일구는 라틴아메리카문학과 세계문학으로의 출현 / 송상기 독일의 국어교육에서 문학 작품의 선별 기준과 정전 문제 / 권오현 1. 들어가며 2. 독일 학교의 문학 교육 : 기본 방향 3. 문학 교육에서 정전과 탈정전 논의 4. 탈정전으로서의 동시대 문학 5. 탈정전 시대의 작품 선별 기준 6. 나가며 : 시사점 다문화주의적 사회를 위한 '지역 정전' 확립과 필리핀계 미국인 작품 읽기 / 기현주 1. 서론 2. 정전 확대에 따른 '지역 정전' 확립의 필요성 3. 탈식민주의적 관점으로 본 필리핀계 미국 소설과 희곡 4. 결론
필자 소개
서가브라우징
숙주인간 천승주 2023 / 글: 김경은 ; 그림: 혜캉 / 열림원어린이
작가 형사 부스지마 : 나카야마 시치리 소설2018 / 지은이: 나카야마 시치리 ; 옮긴이: 김윤수 / 북로드
곁으로 : 문학의 공간2015 / 김응교 / 새물결플러스
사랑의 향연 세상의 문학 2023 / 지음: 김종호 / 엘도브
은유가 된 독자 : 여행자, 은둔자, 책벌레2017 / 지은이: 알베르토 망구엘 ; 옮긴이: 양병찬 / 행성B
우리가 알아야 할 최소한의 세계 문학 : 톨스토이부터 하루키까지2014 / 인천문화재단 한국근대문학관 기획 및 엮음 ; 오은하 ; 이병훈 ; 권혁준 ; 최영진 ; 우석균 ; 김현균 ; 김응교 ; 김태성 ; 김재용 ; 이석호 / 매경출판
대학으로 가는 길 : EBS 명강사와 함께하는 SKY 고전 100선2014 / 이진희 ; 김하규 ; 김동린 지음 / 풀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