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착도서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러시아.유라시아 연구시리즈'. 단절과 굴절을 겪어온 한러관계사를 복원하기 위해 이 책의 저자들은 무엇보다도 중요한 역사적 쟁점이 되는 사안들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책 발간을 축하하며 / 이인호
책머리에
일러두기

1장 구한 말기의 한러관계
1884년 한러조약에 관한 내용과 분석 / 김영수
1. 머리말
2. 한러조약에 관한 연구동향
3. 한러조약의 한문과 러시아 원문 분석
4. 맺음말
아관파천 시기 러시아의 한국인식 / 박벨라
1. 들어가는 글
2. 1895~1897년 러시아 탐사단의 기록
3. 1898년 러시아 탐사단의 기록
러시아와 한국 및 일본 역사교과서 서술 분석 : “태프트-가쓰라 협정”을 중심으로 / 최덕규
1. “태프트-가쓰라” 협정은 실재했는가?
2. 러시아의 한국사 대학교재 속의 “태프트-가쓰라 협정”
3. “태프트-가쓰라 밀약”과 『日本外交文書』
4. 한국 및 일본 역사교과서 속의 “태프트-가쓰라 협정”
5. 맺음말

2장 일제강점기의 한국과 러시아
1920년대 전반 러시아(소련)의 대한민국임시정부 인식 / 반병률
1. 머리말
2. 한국과 한국혁명세력에 대한 초기 소비에트정부의 메시지
3. 한인사회당 주도시기(1919년 하반기~1920년 말)
4. 이르쿠츠크파-대한국민의회 연합세력 주도시기 (1920년 말~1921년 말)
5. 각축기(1921년 말~1923년)
6. 맺음말
일제강점기 소련의 조선 인식 : 러시아의 대학교재를 중심으로 / 홍웅호
1. 머리말
2. 러시아의 동아시아 인식과 정책
3. 러시아의 한국사 교과서 서술 경향
4. 러시아 한국사 교과서의 주요 서술 내용과 조선 인식
5. 맺음말
식민지시대 한국문학 속의 러시아와 러시아인의 이미지 : 1930년대를 중심으로 / 박노자
1. 서론: 러시아/소련―좋거나 나쁘거나 문화적으로 비슷하거나
2. 러시아/소련―멀고도 가까운, 이질적이며 매혹적인
3. 결론

3장 현대사 속의 한국과 러시아
러시아의 한국전쟁 인식에 나타난 변화 / 기계형
1. 머리말
2. 러시아 대학의 한국사 교재와 한국전쟁 원인에 대한 서술
3. 11학년 역사교과서의 한국전쟁 관련 서술내용 분석
4. 맺음말
러시아의 시각으로 본 박정희 체제에 대한 해석 / 알렉산드르 보론쪼프
1. 들어가는 글
2. 박정희 체제에 대한 러시아의 재평가
3. 러시아의 경험과 아시아에서의 변용, 그 특수성과 유사성
4. 나가는 글
개발 독재 시기 한국현대사 서술을 통해 본 현대 러시아의 한국 인식과 자기 인식 : 러시아의 한국 현대사 인식 속에 투영된 현대 러시아의 자화상 / 구자정
1. 들어가는 말
2. 박정희 체제: “한국적 특수성”과 “한국적 유형의 민주주의”
3. 박정희 체제하 경제개발에 대한 서술과 견해
4. 전두환 체제: “한국적 민주주의”에서 “진정한 민주주의”로의 전환기?
5. 맺음말을 대신하여: 한국 현대사에 투영된 러시아의 “경험 공간”과 “기대 지평”

4장 미래의 한러관계 비전
1990~2010년 러시아 역사 서술에서 나타난 한국의 현대사 변천 / 세르게이 쿠르바노프
1. 1980년대 소련의 변화와 역사발전론, 그리고 한국에 대한 인식
2. 1990년대 러시아 역사 서술에 나타난 한국 현대사
3. 2000년대 러시아 역사서술에서 한국에 대한 인식
4. 결론
김대중·노무현 정부 시기 러시아의 한국 인식 : 러시아 대학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 정세진
1. 서론
2. 한국 민주주의와 정치 체제에 대한 러시아의 인식
3. 남북관계에 대한 러시아의 역사 인식
4. 한국경제와 한국의 대외관계에 대한 인식
5. 결론

찾아보기
필자약력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신친일파: 반일 종족주의의 거짓을 파헤친다 신친일파: 반일 종족주의의 거짓을 파헤친다 2020 / 호사카 유지 지음 / 봄이아트북스
한국 속 동남아 현상 : 인간과 문화의 이동 한국 속 동남아 현상 : 인간과 문화의 이동 2012 / 김동엽 외 지음 / 명인문화사
한국 속 동남아 현상 : 인간과 문화의 이동 한국 속 동남아 현상 : 인간과 문화의 이동 2012 / 김동엽 외 지음 / 명인문화사
한-EU 관계론= Korea-European Union relations 한-EU 관계론= Korea-European Union relations 2019 / 김시홍 외 편저 / HUINE:
21세기의 북한과 러시아 : 신화(神話), 비화(秘話) 그리고 진화(進化) 21세기의 북한과 러시아 : 신화(神話), 비화(秘話) 그리고 진화(進化) 2011 / 박종수 지음 / 오름
유라시아 시대로 가는 한반도와 러시아의 파트너십 유라시아 시대로 가는 한반도와 러시아의 파트너십 2011 / 우리시대 지음 / 국제한민족재단출판국
유라시아 시대로 가는 한반도와 러시아의 파트너십 유라시아 시대로 가는 한반도와 러시아의 파트너십 2011 / 우리시대 지음 / 국제한민족재단출판국
역사 속의 한국과 러시아  : 상호 인식과 이해 역사 속의 한국과 러시아 : 상호 인식과 이해 2013 /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 러시아·유라시아 연구사업단 엮음 / 선인
주한미군 : 역사, 쟁점, 전망 주한미군 : 역사, 쟁점, 전망 2009 / 김일영 ; 조성렬 [공] 지음 / 한울(한울아카데미)
주한미군 : 역사, 쟁점, 전망 주한미군 : 역사, 쟁점, 전망 2009 / 김일영 ; 조성렬 [공] 지음 / 한울(한울아카데미)
반미주의로 보는 한국 현대사  : 주한 미국 외교관이 바라본 한국의 반미 현상 반미주의로 보는 한국 현대사 : 주한 미국 외교관이 바라본 한국의 반미 현상 2017 / 지은이: 데이비드 스트라우브 ; 옮긴이: 김수빈 / 산처럼
정책집행과 갈등관리 : 주한미군 재배치를 중심으로 정책집행과 갈등관리 : 주한미군 재배치를 중심으로 2009 / 유종상 지음 / 한국학술정보
아메리카 트라우마 : 어느 외교 전문기자가 탐색한 한미관계 뒤편의 진실 아메리카 트라우마 : 어느 외교 전문기자가 탐색한 한미관계 뒤편의 진실 2012 / 최형두 지음 / 위즈덤하우스
한미관계론 한미관계론 2012 / 김계동 ; 김학성 ; 김현욱 ; 서주석 ; 윤덕룡 ; 이상현 ; 전성훈 ; 정일준 ; 차창훈 ; 홍용표 ; 황지환 지음 / 명인문화사
중국외교 150년사 : 글로벌 중국으로의 도전 중국외교 150년사 : 글로벌 중국으로의 도전 2012 / 가와시마 신 ; 모리 가즈코 [공] 지음 ; 이용빈 옮김 / 한울(한울아카데미)

같이 빌린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글로벌이슈 : 세계화의 도전과 대응 : 안보 경제 개발 환경 글로벌이슈 : 세계화의 도전과 대응 : 안보 경제 개발 환경 2006 / 마이클 T. 스나르 ; D. 닐 스나르 [공] 지음 ; 김계동 ...[등] 옮김 / 명인문화사
정치와 비전  : 서구 정치사상사에서의 지속과 혁신. 3 정치와 비전 : 서구 정치사상사에서의 지속과 혁신. 3 2013 / 지은이: 셸던 월린 ; 옮긴이: 강정인 ; 김용찬 ; 박동천 ; 장동진 ; 홍태영 ; 이지윤 / 후마니타스
냉전 이후  : 역사를 시사로, 시사를 역사로 읽는 김기협의 남북관계사 냉전 이후 : 역사를 시사로, 시사를 역사로 읽는 김기협의 남북관계사 2016 / 지음: 김기협 / 서해문집
일본의 미들 파워 외교 : 전후(戰後) 일본의 선택과 구상 일본의 미들 파워 외교 : 전후(戰後) 일본의 선택과 구상 2006 / 소에야 요시히데 지음 ; 박철희 ; 윤수경 ; 이나올 [공] 옮김 / 오름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중동 테러리즘 = Terrorism in the middle east : 중동의 새로운 질서와 IS의 탄생 중동 테러리즘 = Terrorism in the middle east : 중동의 새로운 질서와 IS의 탄생 2015 / 지음: 홍준범 / 청아
(반미주의로 보는)한국 현대史 : 주한 미국 외교관이 바라본 한국의 반미 현상 (반미주의로 보는)한국 현대史 : 주한 미국 외교관이 바라본 한국의 반미 현상 2017 / 지음: 데이비드 스트라우브 ; 옮김: 김수빈 / 산처럼
한국의 일본 일본의 한국 : 이천 년 한일 교류의 현장을 가다 한국의 일본 일본의 한국 : 이천 년 한일 교류의 현장을 가다 2016 / 허문명 외 지음 / 은행나무
독도를 일본에 빼앗기지 않으려면 : 왜, 어떻게, 누가 이 섬을 지킬 것인가 독도를 일본에 빼앗기지 않으려면 : 왜, 어떻게, 누가 이 섬을 지킬 것인가 2013 / 이선호 지음 / 팔복원
날씨는 맑으나 파고는 높다 : 최장수 서울특파원이 들여다 본 韓日 현대사의 뒤안길 날씨는 맑으나 파고는 높다 : 최장수 서울특파원이 들여다 본 韓日 현대사의 뒤안길 2017 / 지음: 구로다 가쓰히로 ; 옮김: 조양욱 / 조갑제닷컴
책임과 변명의 인질극 책임과 변명의 인질극 2018 / 이연식 외 지음 / 채륜
한국영토 독도의 '고유영토론'  : 미국과 일본의 영토팽창론을 경계하다 한국영토 독도의 '고유영토론' : 미국과 일본의 영토팽창론을 경계하다 2014 / 저자: 최장근 / 제이앤씨
동북아시아 영토문제,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 대립에서_대화로 동북아시아 영토문제,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 대립에서_대화로 2013 / 와다 하루키 지음 ; 임경택 옮김 / 사계절출판사
한반도 분쟁과 중국의 개입 한반도 분쟁과 중국의 개입 2012 / 한국정치외교사학회 지음 / 도서출판선인(선인문화사)
일본 아베 정권의 역사인식과 한일관계  = Japan's perception of history under the Abe administration, and Korea-Japan relations 일본 아베 정권의 역사인식과 한일관계 = Japan's perception of history under the Abe administration, and Korea-Japan relations 2013 / 도시환, 박진우, 서현주, 장세윤, 진창수, 최운도, 하종문 지음 / 동북아역사재단
라틴 아메리카, 미국, 세계 라틴 아메리카, 미국, 세계 2010 / 피터 H. 스미스 지음 ; 이성형 ; 홍욱헌 옮김 / 까치
모순의 제국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외교사 모순의 제국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외교사 2013 / 디오세기 이슈트반 지음 ; 김지영 옮김 / HUEBOOKS
동아시아 국제관계사 동아시아 국제관계사 2010 / 김준엽 선생 기념서 편찬위원회 엮음 / 아연출판부
독도의 영유권과 국제재판 독도의 영유권과 국제재판 2012 / 김명기 지음 / 한국학술정보
6·25 전쟁과 중국  : 스탈린의 마오쩌둥 제압전략 6·25 전쟁과 중국 : 스탈린의 마오쩌둥 제압전략 2015 / 지음: 李世基 / 나남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1
40대0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1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