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 500년 동안 배출된 문과(대과)급제자의 신원을 여러 자료를 통해 전수조사하고, 원고지 1만 2천 장으로 분석, 이들이 벼슬아치의 후예인지 아니면 신분이 낮은 '개천에서 솟아난 용'인지를 밝힌 방대한 작업이 책으로 정리되어 나왔다.
목차
들어가면서
1. 조선 전기 신분제의 성격과 양반 2. 《경국대전》에 규정된 문과응시자격 3. 문과급제자 신분이동 연구자료 4. 태조-정종 대 신분이 낮은 급제자와 벼슬 5. 태종 대 신분이 낮은 급제자와 벼슬 6. 세종 대 신분이 낮은 급제자와 벼슬 7. 문종-단종 대 신분이 낮은 급제자와 벼슬 8. 세조 대 신분이 낮은 급제자와 벼슬 9. 예종-성종 대 신분이 낮은 급제자와 벼슬 10. 연산군 대 신분이 낮은 급제자와 벼슬 11. 중종 대 신분이 낮은 급제자와 벼슬 12. 명종 대 신분이 낮은 급제자와 벼슬 13. 선조 대 신분이 낮은 급제자와 벼슬 14. 조선 전기 낮은 신분의 문과급제자에 대한 종합적 정리
서가브라우징
역사저널 그날. 1, 태조에서 세종까지2015 / 지음: KBS 역사저널 그날 제작팀 / 민음사
역사저널 그날. 2, 문종에서 연산군까지2015 / 지음: KBS 역사저널 그날 제작팀 / 민음사
역사저널 그날. 3, 연산군에서 선조까지2015 / 지음: KBS 역사저널 그날 제작팀 / 민음사
과거, 출세의 사다리 : 족보를 통해 본 조선 문과급제자의 신분이동 = Civil service examination system, the ladder of success : social mobility of civil service examination passers seen through family genealogies during Joseon Dynasty , 태조~선조 대2013 / 한영우 저 / 지식산업사
왜관의 조선어통사와 정보유통2013 / 허지은 지음 / 景仁文化社
(이성계와 조준·정도전의) 조선왕조 개창 = (The) foundation of choson dynasty by Yi Sunggye with Cho Jun and Chong Tojeon2012 / 김당택 저 / 전남대학교출판부
성종, 군주의 자격을 묻다2022 / 지음: 방상근 / 푸른역사
설민석의 조선왕조실록 : 대한민국이 선택한 역사 이야기2016 / 설민석 / 세계사
김종서와 조선의 눈물2013 / 이덕일 지음 / 옥당
세종은 과연 성군인가2018 / 지은이: 이영훈 / 백년동안
철학자의 여정 : 토정 이지함과 함께 걷다2016 / 유지은 / 이야기나무
같이 빌린 책
영조의 과거, 널리 인재를 구하다2013 / 이남희 지음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옛그림 속) 양반의 한평생2010 / 허인욱 지음 / 돌베개
(카페에서 읽는) 조선사: 아홉 가지 키워드로 보는 조선의 낯선 모습2020 / 지은이: 표학렬 / 인물과사상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