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머리말
1장 서론
2장 근대적 대학학제의 성립과 학술연구기구의 설립
1. 경사대학당(京師大學堂)의 학제 및 「대학령」의 반포
2. 베이징대학(北京大學)의 체제정비
3. 국문문(國文門)의 설립과 '소설과연구회'의 학술토론
4. 국학문(國學門)의 설립과 학술성과
5. 류스페이(劉師培)의 중국문학 강의와 연구
제3장 국학(國學)연구의 활성화와 학문체계의 전환
1. 국학의 대두와 서헉(西學) 체계의 수용
2. 학문체계의 전환과 학문적 자기동일성
3. 학문의 보편성과 순수학문의 탐구
4. 국학연구의 '사상' 지향과 '학술' 지향
4장 량수밍(梁漱溟)의 동서문화론과 중국문화부흥
1. 인생문제와 중국문제
2. 유럽문명의 파산과 중국문화부흥
3. '과학'에 대한 심화된 이해
4. 직각(直覺)에 의거한 중국문화부흥의 학술적 담론
5. 문화정체성과 '주역(周易)'적 조화론
5장 후스(胡適)의 학문연구방법과 문화보편주의
1. 학문적 권위와 전통학문의 뿌리
2. 과학적 학문연구방법
3. 국고정리(國故整理)의 학문실천
4. 학술운동과 문예부흥
5. 문화보편주의적 동서문화론
6장 루쉰(魯迅)의 학문계보와 학술연구
1. 중국고전 연구
2. 학문계보와 역사 탐독
3. 전통적인 학문방법과 고유의 개념
4. 학술, 문학 그리고 사상계몽
5. 학술연구의 유보
7장 학문패러다임의 전환과 문화정체성
1. 학술과 사상의 관계
2. 학술적, 사상적, 정치적 대응의 양상
3. 학문패러다임의 전환
4. 자기동일성의 문화정체성
8장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