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천세봉의 ≪석개울의 새봄≫을 통해 본 북한 농업협동화 운동과 그 서사적 대응
발행연도 - 2013 / 지은이: 김영희 / 한국문화사
-
도서관
송도국제도서관
-
자료실
송도국제기구도서관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SL0000003278
-
ISBN
9788968170560
-
형태
264 p. 23 cm
-
한국십진분류
문학
>
한국문학
>
소설
-
카테고리분류
에세이/시/희곡
>
한국문학
>
북한문학
책소개
농업집단화 제재 소설들은 당시 전 사회주의권의 정치, 경제, 문화 및 이데올로기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문학텍스트이다. 저자는 이와 같은 중대한 제재의 장편소설들에 대한 비교 연구를 하였다.
목차
머리말
차례
제1장 서론
1.1 연구대상 및 연구현황
1.1.1 연구대상
1.1.2 연구현황
1.2 연구목적 및 연구방법
1.2.1 연구목적
1.2.2 연구방법
제2장 북한 농업협동화 운동의 이론 및 실천 배경
2.1 이론적 배경
2.1.1 마르크스-엥겔스의 과도기이론
2.1.2 레닌의 과도기이론
2.1.3 스탈린의 과도기이론
2.1.4 등소평의 사회주의 초급단계이론
2.2 실천적 배경
2.2.1 소련의 농업집단화
2.2.2 중국의 농업합작화
2.3 농업집단화 운동에 대한 평가 및 심각한 교훈
제3장 북한 농업협동화 운동과 그 서사적 대응
3.1 북한의 농업협동화
3.1.1 농업협동화론의 대두
3.1.2 농업협동화 과정 및 특점
3.2 전후 북한의 문예정책
3.3 북한 농업협동화에 대한 서사적 대응
3.3.1 농업협동화를 제재로 한 소설문학의 출현
3.3.2 농업협동화에 대한 ≪석개울의 새봄≫의 대응 양상
제4장 ≪석개울의 새봄≫의 인물유형 및 비교학적 고찰
4.1 ≪석개울의 새봄≫의 인물유형
4.1.1 농업협동화를 주도하는 인물형상
4.1.2 농업협동화에 태도가 다른 각이한 계층의 농민 형상
4.1.3 농업협동화를 반대하고 파괴하는 인물형상
4.2 농업집단화 제재 소설의 인물유형의 의미
제5장 ≪석개울의 새봄≫의 갈등 양상 및 비교학적 고찰
5.1 ≪석개울의 새봄≫의 갈등 양상
5.1.1 적대적 갈등
5.1.2 비적대적 갈등
5.2 농업집단화 제재 소설의 갈등 양상의 의미
제6장 ≪석개울의 새봄≫의 주제 및 비교학적 고찰
6.1 시대의 공명(共名)과 작품의 주제적 성향의 함수관계
6.2 작가 천세봉의 태도와 입장으로부터 본 ≪석개울의 새봄≫의 주제
6.3 독자들에 의해 해석되는 ≪석개울의 새봄≫의 주제
6.4 ≪석개울의 새봄≫의 주제에 대한 비교학적 고찰
제7장 결론
참고문헌
감사의 글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