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이론과 현장을 고루 경험한 석학이 휴전 60년간 위대한 경제 기적을 이룬 성공방정식이 이제는 유효하지 않다면서, 향후 15년간 새로운 성장동력을 재가동하기 위해 개인과 기업, 정부가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구체적인 혁신 과제를 보여주는 책이다.
목차
서문 2027년, 한국경제의 기회와 위험
PART 1 지난 60년과 향후 15년
1장 우리는 지금 어디에 서 있나
세계적인 모범국가 vs. 실패한 불량국가
저신뢰사회의 경제와 정치 발전의 원동력
산업화와 개방정책이 가져다준 것들
‘공부’와 ‘일’에 매달리는 사람들
우리는 왜 행복하지 않는가
2장 가까운 미래 전망과 한국의 선택
중국의 성장과 세계경제 지도의 변화
셰일가스혁명과 에너지시장의 변화
서구 선진국에서 신흥국으로 경제 중심의 이동
인구동향과 한국경제의 성장동력 약화
초연결사회와 빅데이터시대
검은 백조 북한의 체제 변화
중국의 시대, 한국의 미래 전략
PART 2 경제 활력 되찾기
3장 창조경제의 활성화
창조경제는 왜 필요한가
창조경제를 가로막는 5가지 딜레마
시장 혁신과 창조는 민간기업의 몫
개방형 혁신으로 연구개발 활성화
생계형 창업에서 혁신적 창업으로의 전환
대학을 어떻게 혁신할 것인가
4장 국제화 4.0시대
국제화 4.0시대가 열렸다
동아시아는 새로운 성장동력
제조업 강국이 경제 강국이다
초연결사회의 승자는 개인과 소기업
성장 지향적 세제와 인센티브 강화
5장 서비스산업의 빅뱅
서비스산업이 영세할 수밖에 없는 이유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경계가 사라지다
서비스산업을 제3의 성장 기둥으로
경제의 서비스화를 주도하는 지식기반형 서비스업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사회서비스업
아시아의 문화 중심으로 성장할 펀산업
PART 3 경제제도 개선하기
6장 인구동학과 노동시장
인구구조 변화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고용률 제고는 30~40대 여성에게 달렸다
공보육이 확대돼야 출산율도 올라간다
100세시대 노인의 기준과 정년연장
근로조건 격차 줄여야 비정규직 문제 해결된다
청년 일자리 늘리려면 미스매치를 해소해야
7장 경제민주화와 기업 생태계
왜 지금 경제민주화를 논하는가
경제민주화의 세 가지 얼굴
경제민주화를 다시 생각해보자
재벌의 지배구조는 과연 타당한가
한국식 자본주의 고쳐 쓰기
8장 사회복지와 재정건전성
복지 확대, 필요하지만 신중하게
늙어갈수록 더 불행한 한국의 노인들
고령화시대 건강보험료 인상은 불가피
복지전달체계 개선으로 복지체감도 높이기
국가 재정건전성을 위협하는 것들
PART 4 남북한 통합시대
9장 동아시아 공동체와 남북한 통합
동아시아 안보협력체와 경제공동체 구축하기
불안한 북한 정세와 군사적 위협
북한의 급변사태 가능성
남북한 통합을 위한 준비
10장 효율적 정부
공공부문의 비대화 경향과 작은 정부의 필요성
정부가 해야 할 일과 해서는 안 될 일
분권화할 것인가, 집권화할 것인가
정부 조직의 질적 효율성 높이기
글로벌시대 새로운 지역 개념 정립하기
감사의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