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도전의 장, 계몽주의 지성사
포스트모더니즘의 도전
급진계몽주의론 평가
연구 목표와 전개 방향
제1장 피에르 벨의 관용론, 양심의 자유에서 양심의 권리로
역설과 다음성의 관용론
관용론의 기초, 회의주의
관용론의 도구적 장치, 무신론
‘양심의 권리’와 다원주의
개인주의적 관용론의 논리적 정점
제2장 버나드 맨더빌, 시민사회의 작동 방식
새로운 인간 과학의 천명자
사회의 성립과 진화
정치가와 정부의 역할
자본주의와 자본주의 정신
물질적 진보의 필연성
제3장 몽테스키외 정치사상의 모호한 근대성
포스트모더니스트?
근대성과 새로운 덕성
고대 지향과 근대성의 개념적 구분
근대성의 양면
계몽의 기획
제4장 몽테스키외: 공화정, 자유와 상업의 문제
공화주의자?
공화정과 자유
공화정과 민주정
공화정과 상업활동
공화정의 미래
제5장 볼테르의 반유대주의와 대혁명기 유대인 해방
볼테르, 반유대주의자?
구체제기 유대인의 조건과 볼테르의 평가
볼테르의 반유대주의
대혁명과 유대인 해방
시민 만들기
제6장 볼테르와 계몽사상가들의 사형제도 비판
사형제도와 생명정치
볼테르와 몸의 관용 요청
루소와 디드로의 사회계약론적 비판
베카리아의 공리주의적 비판
혁명가들의 사형제도 폐지 논쟁
내리지 못한 결론
제7장 콩디야크의 감각론적 정치경제학
감각론자 콩디야크
밀가루 전쟁과 곡물 전쟁
곡물의 ‘진실한 가격’(vrais prix)
쾌락주의적 공리주의자?
감각심리적 정치경제학
제8장 디드로의 생물학적 유물론
유물론의 시대
기형과 혼종, 자연적 존재의 평등
개체와 전체, 분자생물학적 물질론
연대의 조건, 보편적 감성의 물질론
독단을 거부하는 유물론
제9장 디드로의 정치사상과 러시아 개혁 구상
정치사상가, 디드로
러시아 개혁과 계몽사상
계몽전제정 비판과 정치적 자유의 조건
러시아 경제발전전략과 중농주의 비판
인공적 사회성과 합리적 욕망
제10장 엘베시우스의 감각론적 유물론과 국민의 일반이익론
급진계몽주의자
몽테스키외의 ‘국민의 성격’ 개념 비판
물리적 감성과 정념의 유물론
일반이익과 공리성
인간 이성의 보편화
제11장 돌바크의 쾌락주의 윤리와 공리주의 정치
철학 호텔의 주인
감각론적 유물론과 필연의 체계
쾌락주의와 자연주의 윤리
자연주의 정치와 공리주의
이성과 정념의 변증법
제12장 루소의 자유론, 자유와 법률의 관계
적극적 자유?
자연 상태의 자연적 자유와 사회 성립
정치사회의 시민적 자유와 법률 지배
제3의 자유로서 도덕적 자유와 공동체의 자율성
제3의 자유를 넘어서
제13장 루소의 일반의지론과 의사결정
일반의지와 투표
일반의지의 요청
일반의지의 존재 형식
일반의지의 결정과 투표
일반의지가 실현되는 공동체
제14장 콩도르세의 수학적 사회과학과 대의정부론
지롱드파?
기하학적 지식과 확률론
사회수학과 사회예술
다수결 투표와 일반의지
엘리트주의 정치수학
제15장 콩도르세와 인간 정신의 진보
계몽의 이념과 진보
계몽과 인간 해방
보편언어와 인간의 진보
역사의 진보
서구 중심의 진보
결론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