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간생사
『동아시아의 전쟁 기억』 을 발행하며
임진왜란의 기억 - 19세기 전기에 일본에서 번각된 조·일 양국 임진왜란 문헌을 중심으로/ 김시덕
1. 들어가며
2.『징비록』·『은봉야사별록』과 근세 일본의 임진왜란 담론사
3. 19세기 전기에 임진왜란 무헌을 출간하는 두 가지 목적: 『조선 이야기』와 『다치바나 조선기』
4. 나가며
'재조번방'에서 '비례부동'으로 - 바위에 새겨진 양란의 기억 / 우경섭
1. 머리말
2 조·명 관계의 특수성과 ‘재조번방’의 공업
3. 중화문명의 보편성과 ‘비례부동’의 의리
4. 맺음말
청일전쟁 전후 중국인의 조선체험 및 기록 / 권혁수
1. 들어가며
2. 『동유기정』: 1894년 봄 섭사성의 조선고찰기행
3. 『동정일기』: 1894년 여름 섭사성의 조선출병 기록
4. 『객한필기』: 1893~1895년 영국 총영사관 직원 허인휘의 서울 체험과 기록
5. 청일전쟁 발발 당시 조선 주재 청나라 공관 상황에 관한 당소의의 보고 내용
6. 나가는 말
조선인 가미카제의 죽음과 그들에 대한 기억 - ‘화해’의 수단/ ‘친일’논쟁의 틀을 넘어서 / 백영미
1. 들어가며
2. 조선인 특공대원은 어떠한 존재였는가
3. 패전 후 일본에서의 기억과 표상 - 영화와 위령비
4. 패전 후 한국에서의 기억과 표상 - ‘친일논쟁’
5. 나가며
오키나와 전쟁 트라우마와 냉전 / 도미야마 이치로 ; 번역: 박준형
1. 기억과 냉전
2. 오키나와 전쟁 트라우마
3. 의료의 실천, 청취의 실천
4. 맺으며
해방전쟁, 한국전쟁과 조선족의 정체성 - 염인호, 『또 하나의 한국전쟁: 만주 조선인의 ‘조국’과 전쟁』에 대한 서평 / 김광희
1. 머리말
2. 조선족사 연구에 대한 기여: 정체성 변화와 민족갈등
3. 한국현대사 연구시야의 확대
4. 맺으며
의도하지 않은 결과 - 1970년대 초 베트남 전쟁 참전국의 변화 / 박태균
1. 서론
2. 아시아 국가들의 베트남 파병 현황
3. 베트남 전쟁과 아시아 지역 참전국의 경제 호황
4. 베트남 전 파병을 통한 참전국의 정치안보적 변화
5. 닉슨독트린을 통한 의도하지 않았던 정치적 변화
6.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