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

  • EU 식품법
  • EU 식품법

    발행연도 - 2011 / 김두수 지음 / 한국학술정보
    • 도서관 송도국제도서관
    • 자료실 송도국제기구도서관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SL0000001515
    • ISBN 9788926819289
    • 형태 446 p. 22 cm
    • 한국십진분류 기술과학 > 의학 > 건강증진, 공중보건 및 예방의학
    • 카테고리분류 사회과학 > 법학 > 국제법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EU와 FTA를 체결하고 2010년 10월 6일 브뤼셀에서 정식 서명한 우리나라는 EU와 더욱 긴밀한 관계를 구축하게 되었고, 여러 분야에서 EU법에 대한 이해가 더욱 절실히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이 책은 EU법 여러 영역 중에서 EU의 일반식품법(General Food Law)에 관한 법제와 몇몇 사례를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서 문
인용약어

PART 01 EU통합의 법적 기초

제1장 머리말

제2장 EU의 통합법제사
Ⅰ. 서언
Ⅱ. EC와 EU
1. EC
2. EU
Ⅲ. 현재 EU의 통합 정도
1. 정치적 측면
2. 경제적 측면
Ⅳ. 결언
1. 리스본조약의 체결과 발효
2. 리스본조약상 변화된 주요 법적 내용
3. 리스본조약의 발효 이후 전망

제3장 EU의 주요기관
Ⅰ. 이사회
1. 구성
2. 의결절차
3. 상임대표위원회(Committee of Permanent Representatives: COREPER)
4. 이사회의 직무와 권한: 의결권의 일반원칙과 범위
Ⅱ. 위원회
1. 구성
2. 직무와 권한
Ⅲ. 유럽의회
1. 구성과 운영
2. 직무와 권한: 입법절차에의 참여
Ⅳ. 사법기관
1. 국내법원
2. 유럽사법법원(ECJ)
3. 일반재판소
Ⅴ. 감사원
1. 구성
2. 직무
Ⅵ. 유럽중앙은행
Ⅶ. 경제사회위원회ㆍ지역위원회
1. 경제사회위원회
2. 지역위원회

제4장 EU법의 법원
Ⅰ. 설립조약
Ⅱ. 2차 입법
1. 규칙
2. 지침
3. 결정
4. 권고 및 의견
Ⅲ. 국제협정
Ⅳ. 법의 일반원칙
Ⅴ. 사법적 해석과 판결
Ⅵ. 결의 및 계획


PART 02 EU의 식품법

제5장 머리말

제6장 식품법제의 성립과 발전
Ⅰ. 서언
Ⅱ. EU의 상품 자유이동에 대한 비관세장벽의 문제
1. 관세장벽과 비관세장벽의 일반적 금지 규정
2. TFEU 제36조에 의한 비관세장벽의 허용 요건
3. 비관세장벽의 문제해결에 대한 소견
Ⅲ. EU의 식품안전과 소비자보호에 관한 식품법제의 성립과정
1. 1997년 ‘식품법 일반원칙에 관한 녹서’ 이전의 EU 식품법의 지위
2. 영국의 광우병 위기에 따른 식품안전 및 공중보건에 관한 재고
3. 1997년 ‘식품법 일반원칙에 관한 녹서’ 이후의 EU 식품법 지위의 변화
Ⅳ. EU의 유럽식품안전청의 설립과 역할
1. ‘식품안전백서’에 기초한 유럽식품안전청의 설립
2. 유럽식품안전청의 역할수행과 한계
Ⅴ. EU의 식품법제 성립과 유럽식품안전청 설립의 의의
Ⅵ. 결언

제7장 식품법상의 과학적 기초
Ⅰ. 서언
Ⅱ. 식품안전과 소비자보호를 위해 필요한 과학적 기초
1. 광우병 위기를 통한 식품안전 문제에 대한 인식 제고
2. 광우병 위기 이후 EU 위원회의 식품안전정책 구상
3. TFEU 제168조와 TFEU 제44조의 관계에 대한 해석
4. ‘식품안전과 소비자보건에 관한 통보’상의 기본원칙으로서의 과학
5. ‘식품법 일반원칙에 관한 녹서’상 과학이 차지하는 비중
6. ‘식품안전백서’상의 과학
Ⅲ. 식품안전과 소비자보호를 위해 확립된 초기 과학적 기초의 내용
1. ‘과학적 조언’을 위한 기본원칙들의 강화
2. ‘과학운영위원회’의 창설과 역할
3. ‘과학위원회들’의 창설과 역할
4. ‘과학적 조언’ 제공의 의의
Ⅳ. 초기의 과학적 기초의 내용에 관한 평가와 개선 및 전망
1. ‘과학위원회들’의 역할에 대한 평가 및 쇄신
2. ‘유럽식품안전청’의 설립에 따른 행정구조의 개편
3. 유럽식품안전청의 초기 성과
4. 유럽식품안전청의 과학적 의견의 실효성 문제
5. 여러 ‘규제위원회들’의 보조
6. ‘먹이사슬 및 동식물보건에 관한 자문단’의 보조
7. 유럽식품안전청의 연구예산 확보
Ⅴ. 결언

제8장 식품법상의 일반원칙들과 신속경보체제
Ⅰ. 서언
Ⅱ. EU 식품법상 일반원칙들의 확립
1. 식품 및 식품법 등 개념정의의 필요성
2. 식품법의 목적
3. 식품법상 과학적 요소(근거)의 강화
4. EU 차원의 일반원칙들의 입법 필요성
5. EU 차원의 일반원칙들의 입법 과정
6. 일반원칙들을 포함한 EU 식품법의 회원국 내 적용의 문제
7. EU 식품법상 일반원칙들의 제정 및 쟁점
Ⅲ. EU 식품법상 신속경보체제의 확립
1. 초기의 신속경보체제
2. ‘식품 및 사료에 대한 신속경보체제’의 확립을 통한 보완
Ⅳ. 결언

제9장 유럽식품안전청의 조직구조와 역할
Ⅰ. 서언
Ⅱ. 유럽식품안전청의 조직구조와 역할
1. 유럽식품안전청의 설립 배경 및 필요성
2. 유럽식품안전청의 조직구조 분석
3. 유럽식품안전청의 주된 역할 및 한계
Ⅲ. 유럽식품안전청의 역할수행상 문제
1. 유럽식품안전청과 국내식품기관 간의 과학적 의견의 충돌 문제
2. 독립성의 문제
3. 투명성의 문제
4. 신종 위해요소의 규명 문제
5. 위해성 관리에 대한 결정의 통보 문제
6. 신속경보체제하에서 유럽식품안전청의 지위 문제
Ⅳ. 결언

제10장 생산물책임법
Ⅰ. 서언
Ⅱ. 1차 농업생산물을 포함한 EU의 생산물책임에 관한 법제
1. 이사회 지침 85/374에 의한 생산물책임의 확립
2. 유럽의회/이사회 지침 99/34에 의한 생산물책임의 보완
3. 생산물책임 지침의 이행에 관한 녹서
Ⅲ. 생산물책임에 관한 ECJ의 판례와 관련 지침의 개정 필요성
1. 문제의 배경
2. Commission v. France 사례
3. Commission v. Greece 사례
4. Commission v. Denmark 사례
5. 생산물책임 지침의 개정 필요성
Ⅳ. 결언


PART 03 한국의 식품안전기본법

제11장 한국의 식품안전기본법
Ⅰ. 식품안전기본법의 제정
Ⅱ. 식품안전기본법의 주요 내용
1. 법제정의 목적
2. 용어의 개념 정의
3.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책무
4. 국민의 권리와 사업자의 책무
5. 긴급대응 및 추적조사
6. 식품안전관리의 과학화
7. 정보공개
8. 소비자의 참여
Ⅲ. 식품안전관리체계의 완전한 일원화 전망

부록 1 Regulation 178/2002
부록 2 한국의 식품안전기본법 및 식품안전기본법시행령
부록 3 WTO-위생 및 식물위생 조치의 적용에 관한 협정(SPS협정)
부록 4 EU의 연대기(Chronology of the European Union)
부록 5 리스본조약에 의한 신구조문 대조표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코로나 사이언스: 연구 현장의 최전선에서 써 내려간 과학자들의 코로나19 분석보고서 코로나 사이언스: 연구 현장의 최전선에서 써 내려간 과학자들의 코로나19 분석보고서 2021 / 기초과학연구원(IBS) 지음 / 동아시아
먹거리의 리스크학  : 먹거리의 안전문제, 리스크 평가와 관리의 관점에서 바라보다 먹거리의 리스크학 : 먹거리의 안전문제, 리스크 평가와 관리의 관점에서 바라보다 2016 / 나카니시 준코 ; 박선희 / 푸른길
배신의 식탁  : 우리는 식탁 앞에서 하루 세 번 배신당한다 배신의 식탁 : 우리는 식탁 앞에서 하루 세 번 배신당한다 2013 / 마이클 모스 지음 ; 최가영 옮김 / 명진출판
식품위생 원리와 실제 = Food safety principle & practice 식품위생 원리와 실제 = Food safety principle & practice 2014 / 곽동경 ; 강영재 ; 류경 ; 문혜경 ; 장혜자 ; 이경은 ; 최정화 [공]지음 / 교문사
아무거나 먹지마라! : 똑똑한 엄마의 위험한 밥상 아무거나 먹지마라! : 똑똑한 엄마의 위험한 밥상 2014 / 차움 푸드테라피센터 지음 / 경향비피
코로나 시대, 식품 미신과 과학의 투쟁: 미신으로 먹었다 과학으로 먹어라 코로나 시대, 식품 미신과 과학의 투쟁: 미신으로 먹었다 과학으로 먹어라 2020 / 에런 캐럴 지음; 김홍표 옮김 / 지식공작소
무엇을 먹을 것인가 무엇을 먹을 것인가 2020 / 콜린 캠벨, 토마스 캠벨 지음; 유자화, 홍원표 옮김 / 열린과학
EU 식품법 EU 식품법 2011 / 김두수 지음 / 한국학술정보
(소리 없는 살인자, 고혈압·고혈당·고지혈증 잡는) 식사순서 혁명  : 그대로 먹고 순서만 바꿔라 (소리 없는 살인자, 고혈압·고혈당·고지혈증 잡는) 식사순서 혁명 : 그대로 먹고 순서만 바꿔라 2013 / 가지야마 시즈오 ; 이마이 사에코 지음 ; 이소영 옮김 / 중앙북스
플랜트 패러독스  : 우리가 건강해지려고 먹는 '식물들'의 치명적인 역습 플랜트 패러독스 : 우리가 건강해지려고 먹는 '식물들'의 치명적인 역습 2018 / 지은이: 스티븐 R. 건드리 ; 옮긴이: 이영래 / 쌈앤파커스
산 음식, 죽은 음식: 호모 사피엔스는 무엇을 먹도록 설계된 동물인가 산 음식, 죽은 음식: 호모 사피엔스는 무엇을 먹도록 설계된 동물인가 2020 / 더글라스 그라함 지음; 김진영, 강신원 옮김 / 사이몬북스
인생을 바꾼 식사의 기적 : 이유 없이 아픈 나를 치유하는 1·1·2 식단 인생을 바꾼 식사의 기적 : 이유 없이 아픈 나를 치유하는 1·1·2 식단 2021 / 김남희 지음 / 북테이블
1日 1食 : 내 몸을 살리는 52일 공복 프로젝트 1日 1食 : 내 몸을 살리는 52일 공복 프로젝트 2012 / 나구모 요시노리 지음 ; 양영철 옮김 / 위즈덤스타일
1日 1食 : 내 몸을 살리는 52일 공복 프로젝트 1日 1食 : 내 몸을 살리는 52일 공복 프로젝트 2012 / 나구모 요시노리 지음 ; 양영철 옮김 / 위즈덤스타일
다이어터. 3, 건강지속 편 다이어터. 3, 건강지속 편 2021 / 글: 네온비 ; 그림: 캐러멜 / 중앙북스

같이 빌린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식후 30분에 읽으세요 : 약사도 잘 모르는 약 이야기 식후 30분에 읽으세요 : 약사도 잘 모르는 약 이야기 2013 / 건강사회를 위한 약사회 지음 / 이매진
(약사가 알려주는)대한민국 약의 비밀 : 이제 자신의 건강을 직접 지켜라! (약사가 알려주는)대한민국 약의 비밀 : 이제 자신의 건강을 직접 지켜라! 2013 / 김정환 지음 / 경향비피
중국과 러시아의 현재 : 체제전환, 대외정책, 엘리트 비교연구 중국과 러시아의 현재 : 체제전환, 대외정책, 엘리트 비교연구 2011 / 코리아컨센서스 유라시아 연구회 엮음 / 한울(한울아카데미)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세균의 복음 : 1870~1930년 미국 공중보건의 역사 세균의 복음 : 1870~1930년 미국 공중보건의 역사 2019 / 지음: 낸시 톰스 ; 옮김: 이춘입 / 푸른역사
식사 혁명 : 더 나은 밥상, 세상을 바꾸다 식사 혁명 : 더 나은 밥상, 세상을 바꾸다 2019 / 지음: 남기선 / MID
건강의 배신: 무병장수의 꿈은 어떻게 우리의 발등을 찍는가 건강의 배신: 무병장수의 꿈은 어떻게 우리의 발등을 찍는가 2019 / 지음: 바버라 에런라이크, 옮김: 조영 / 부키
세상을 뒤집는 의사들 : 베네수엘라 공공 의료 혁명, 바리오 아덴트로 세상을 뒤집는 의사들 : 베네수엘라 공공 의료 혁명, 바리오 아덴트로 2013 / 스티브 브루워 지음 ; 추선영 옮김 / 검둥소
빼앗긴 숨  : 최악의 환경 비극, 가습기살균제 재앙의 진실 빼앗긴 숨 : 최악의 환경 비극, 가습기살균제 재앙의 진실 2016 / 안종주 지음 / 한울
의사는 왜 여자의 말을 믿지 않는가 : 은밀하고 뿌리 깊은 의료계의 성 편견과 무지 의사는 왜 여자의 말을 믿지 않는가 : 은밀하고 뿌리 깊은 의료계의 성 편견과 무지 2019 / 지음: 마야 뒤센베리 ; 옮김: 김보은, 이유림 / 한문화
질병과 가난한삶 : 노숙인을 치료하는 길 위의 의사, 14년의 연구 기록 질병과 가난한삶 : 노숙인을 치료하는 길 위의 의사, 14년의 연구 기록 2015 / 최영아 지음 / 청년의사
대한민국 의료혁명 : 2015, 다시 한국 의료의 길을 찾는다! 대한민국 의료혁명 : 2015, 다시 한국 의료의 길을 찾는다! 2015 /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엮음 / 살림터
육식의 종말: 인류의 육식 문화에 던지는 경고장 육식의 종말: 인류의 육식 문화에 던지는 경고장 2011 / 지음: 제레미 리프킨; 옮김: 신현승 / 시공사
아픈 몸 더 아픈 차별  : 대한민국에서 질병과 장애는 어떻게 죄가 되는가 아픈 몸 더 아픈 차별 : 대한민국에서 질병과 장애는 어떻게 죄가 되는가 2017 / 지음: 김민아 / 뜨인돌
바이러스가 지나간 자리 : 메르스 사태 최전방에서 돌아온 의료인들의 증언 바이러스가 지나간 자리 : 메르스 사태 최전방에서 돌아온 의료인들의 증언 2016 / 지승호 지음 / 시대의창
어쩌다 우리는 환자가 되었나 어쩌다 우리는 환자가 되었나 2018 / 지음: 피터 콘래드 ; 옮김: 정준호 / 후마니타스
건강 격차 : 평등한 사회에서는 가난해도 병들지 않는다 건강 격차 : 평등한 사회에서는 가난해도 병들지 않는다 2017 / 지음: 마이클 마멋 ; 옮김: 김승진 / 동녘
보이지 않는 고통 : 노동자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어느 과학자의 분투기 보이지 않는 고통 : 노동자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어느 과학자의 분투기 2017 / 캐런 메싱 지음 ; 김인아 옮김 / 동녘
의료개혁, 누가 어떻게 할 것인가 의료개혁, 누가 어떻게 할 것인가 2017 / 엮음: 이규식 / 청년의사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1
40대0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1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