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PART 01 국가안보론 이해
제1장 국가안보론의 이론적 기초
제1절 국가안보의 개념과 영역
제2절 국가안보론의 학문적 성격
제3절 한국안보의 연구대상 및 현황
PART 02 국가안보환경과 안보정책
제2장 국가간 갈등과 분쟁
제1절 갈등과 분쟁
제2절 전쟁
제3장 국가안보정책 고려요소
제1절 국가이익
제2절 위협환경
제3절 국력
제4절 공식 비공식 참여자
PART 03 국가안보 역량 강화 정책
제4장 자주국방, 동맹, 다자안보협력
제1절 자주국방
제2절 동맹
제3절 다자안보협력
제5장 군사력 건설
제1절 군사력 개념 및 구성요소
제2절 군사력 건설 이론적 배경
제6장 군비통제
제1절 군비통제
제2절 군비통제의 유형과 사례
PART 04 한국안보의 쟁점과 과제
제7장 한반도 비핵화
제1절 세계의 핵 통제기구와 현황
제2절 북한의 핵문제
제3절 한국의 핵정책
제8장 한미동맹의 미래
제1절 한미동맹의 역사
제2절 한미동맹의 발전 과제
제9장 남북한 통일정책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제1절 휴전협정 체제 성립과 전개
제2절 남북한 통일방안 비교
제3절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과제
제10장 국방개혁의 논쟁 대립구조
제1절 국방개혁의 역사
제2절 국방개혁 2020계획
제3절 국방개혁 307계획
제4절 국방개혁 논쟁 대립구조
제11장 민군관계와 국가안보
제1절 군사기지건설과 민군 갈등
제2절 한국의 군사기지 민군 갈등 특징 분석
제3절 민군 갈등관리 발전방향
제12장 국가의 무한책임과 과제
제1절 국가의 무한책임과 전시유해발굴
제2절 미국의 전시유해발굴제도와 시사점
제3절 한국의 전시유해발굴제도와 추진경과
제4절 전사자 유해발굴사업 활성화 방안
PART 05 영토주권 회복과 통일담론 활성화
제13장 영토주권과 강역사: 독도/대마도
제14장 통일담론 활성화와 정책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