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한 인문주의자의 에스노그라피
1 호황의 절망 | 인문학의 바람, 바람, 바람
인문학 위기의 진실들 ― 범람하는 상품 인문학과 태동하는 실천 인문학
인문학의 가면을 쓴 자기계발학 ― 인문학 열풍의 숨겨진 이면들
중독의 인문학 ― 인문학 공부의 즐거움, 인문학 하는 괴로움
대안을 찾는 대안 ― 정신적 살롱, 저항의 아지트
소통과 연대의 인큐베이터 ― 지행 네트워크의 인문학 실험
대화 | 세상의 거짓에 맞선다, 김종철 《녹색평론》 발행인
대화 | 신좌파 문화 담론의 아이돌, 강내희 《문화/과학》 발행인
2 내부의 절망 | 학문후속세대와 딜레마의 뿔
절대 복종의 세계 ― 대학원에서 견뎌내기와 길들여지기
학문 프롤레타리아트 ― 시간 강사와 학문후속세대, 꼬리칸의 열외자들
번역 권력 ― 번역하지 않는 이론, 변역할 수 없는 이론
해외 유학 ― 지식의 식민화인가 학문의 돌파구인가
독점과 종속 ― 생존과 도피의 경계에 선 내부 고발자들
커피, 카피, 코피 ― 주체성과 생산성을 향한 투쟁
대화 | 실천하는 사회과학자, 김동춘 성공회대 교수
대화 | 새로운 영화 이론의 패스파인더, 정승훈 뉴욕대 교수
3 제도의 절망 ― 학문의 자유와 제도의 덫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 제도 ― 학문 정량화가 낳은 지식 생산의 위기
학술단체협의회 ― 진보 학문은 어떻게 제도에 적응했는가
치사율 91.6퍼센트 ― 연구지원사업의 합리성에 감춰진 덫
단비와 고엽제 ― 지원하는 학문에서 관리하는 학문으로
대화 | 재일 조선인 칼날, 윤건차 가나가와대 교수
대화 | 분단 시대의 경계인, 송두율 전 뮌스터대 교수
4 약소자의 절망 | 마주한 시대의 쟁점과 인문 정신
월경하는 모험자들 ― 담을 넘는 주체와 여행의 인문학
축제의 정신 ― 서낭굿에서 촛불 집회까지, 축제의 인문학
세대론 ― 88만 원 세대와 비겁한 시대의 청년들
창작자와 비평가 ― 비평의 자유와 살림의 비평
약소자와 유력자 ― 전지구적 자본주의와 대안적 세계 인식
대화 | 역사와 개인사를 아우르는 성찰의 힘, 정지아 소설가
대화 | 한국 문학과 함께한 60여 년, 최일남 소설가
에필로그 나는 반제도 비평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