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이상우
1부 횡단하는 동아시아
1장 1930년대 상하이 극장의 민족지형 / 장동천
1. 영화도시 상하이의 좌표
2. 서구식 극장의 등장과 독점화
3. 극장의 서열화와 관객의 신분
4. 영화의 산업화와 방화의 생존
5. 나가며
2장 동아시아 근대 극장의 식민성과 정치성 / 이승희
1. 중국의 발견, 연루된 동아시아
2. 미디어 지배권과 지정학적 변수
3. 反帝의 역사적 계기와 극장의 彈性
4. 외화 소비와 통속의 정치학
5. 멜로드라마와 내셔널리즘
3장 월경하는 식민지 극장:다이글로시아와 리터러시 -일제 말기 오영진의 시나리오를 중심으로 / 이상우
1. 들어가며
2. 다이글로시아의 식민지 극장
3. 조선적 로컬리티와 1942년의 극장 상황
4.「제트기 아래서」의 행방, 그리고 영화 〈우러르라 창공〉
5. 나가며
2부 전통과 역사
4장 변사와 벤시의 탄생 -한일 활동변사의 전통과 맥락 / 박영산
1. 활동사진의 근대성
2. 활동변사의 출현과 ‘해설변사’
3. 일본 직업변사의 화술과 전통 화예
4. 말 잘하는 ‘변사’와 예능인 ‘벤시’
5. 나가며-수용태도와 정체성의 관계
5장 쓰키지소극장의 근대성 문제 -가부키, 신파, 신극의 연관성 / 김현철
1. 들어가며
2. 기존 신극운동의 비판으로서 ‘번역극 논쟁’
3. 구시대의 부정과 대항으로서 ‘번역극’ ‘창작극’
4. 가부키 배우의 가치와 무대표현 방법으로서 고전예능
5. 라이벌로서 신파 의식과 관객 콤플렉스
6. 나가며
6장 일제 말기 역사극의 감성적 문화정치 / 양근애
1. ‘역사극 흥행’의 전사
2. 제국/조선의 외부에 대한 상상력
3. 비언어의 동력과 대중성의 진폭
4. ‘센티멘탈’ 조선, 감성과 에토스의 분열
5. 나가며
3부 종족과 성의 정치
7장 중국 초창기 근대연극과 인종주의 / 김종진
1. 들어가며
2. 진화론, 인종주의, 연극
3. 신극의 인종주의와 민족주의
4. 신해혁명 이후 신극의 변화
5. 나가며
8장 광무대, 제국으로부터 비껴간 근대 극장 / 이주영
1. 침묵의 광무대
2. 광무대=박승필의 기념화
3. 변화하는 관객, 광무대의 흥행 전략
4. 광무대의 시대적 의미
9장 여배우의 등장 -근대 극장의 신체와 섹슈얼리티 / 이화진
1. 들어가며
2. 근대 극장의 ‘새로운 연극’과 여형배우라는 관습
3. 신체성의 부상, 섹슈얼리티의 심미화
4. 이월화의 ‘카츄샤’-‘여형배우’에서 ‘여배우’로
5. 나가며
초출일람
필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