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계를 넘는 공연예술 : 상호매체성과 새로운 지각의 파노라마
발행연도 - 2017 / 남상식 외 지음 / 태학사
-
도서관
영종하늘도서관
-
자료실
[영종하늘]종합자료실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YS0000023888
-
ISBN
9788959668144
-
형태
344p. 23cm
-
한국십진분류
예술
>
공연예술 및 매체예술
>
-
카테고리분류
예술/대중문화
>
연극
>
연극이론/비평/역사
책소개
의미의 종말, 주체의 종말 등, 오늘날 디지털 문화환경 속에서 논의되는 일련의 화두들은 현대예술의 지평을 근본적으로 흔들어놓고 있다. 시뮬레이션, 인공지능, 가상현실 등, 디지털매체에 의해 매개된 우리의 현실은 더 이상 예술의 선험적 조건이 아니기 때문이다.
목차
편집자의 글
제1부 - 매체의 확장, 공연의 미학
디지털 예술의 '새로움'은 무엇인가? / 박영욱
디지털 예술의 ‘새로움’은 무엇인가?
디지털 예술 이전에도 몸의 개입은 얼마든지 가능하다?
들뢰즈의 영화이론을 넘어서-디지털 예술과 ‘절대적’프레임으로서 몸
‘헤테로토피아’: 연극의 새로운 공간개념 / 이선형
공간과 권력
헤테로토피아
사이버스페이스를 조망하며
공연에서의 참여와 인터랙션, 어디까지 가능할까? / 이경미
공연의 새 화두: 참여와 인터랙션
눈의 인터랙션: 시각장의 파괴와 재구성
몸의 인터랙션: 객석에서 직접 작품 속으로
증발되는 실재: 참여와 인터랙션의 확장
‘보기’와 ‘시선’의 공연 / 남상식
미디어 시대 공연과 이미지의 의미
이미지 이론으로부터
연극과 이미지, 보기의 공연
미디어 시대의 생산적 이미지를 위해
‘시선’의 공연
시선의 미학을 위하여
인터미디어 드라마투르기의 실천 가능성 / 최영주
미디어 문화와 새로운 드라마투르기
인터미디어 드라마투르기를 위한 이론적 전제
인터미디어 드라마투르기 구성하기 –조합과 패턴화
인터미디어 드라마투르기 구성 원리
뉴미디어 시대의 배우 예술 / 이진아
뉴미디어와 예술 환경의 변화
뉴미디어 시대의 연극, 그리고 배우
현존하는 배우의 의미
제2부 - 확장된 공연, 새로운 탐색
디지털 미디어와 퍼포먼스의 결합 – 그룹 ‘태싯’(Tacit)의 전자음악 / 박영욱
알고리즘과 퍼포먼스는 양립가능할까?
음악적 퍼포먼스란 리플레이가 아닌 플레이
알고리즘의 본질은 생성과 변형
탈중심 공간 미학 - 윌리엄 포사이즈 <헤테로토피아>를 중심으로 / 이선형
확장되는 공간, 탈경계의 공간
<헤테로토피아>의 탈중심 미학
해체와 탈경계
<헤테로토피아>와 파레르곤
탈경계의 의의
텔레마틱/인터미디어 + 시노그래피 / 이경미
공간에 대한 분할과 확장
인터미디어 시노그래피: 다양한 매체들의 플랫홈
텔레마틱 인터미디어 시노그래피
텔레마틱 인터페이스의 현존과 라이브니스
춤과 영상이 만나는 무대, 그 탈경계의 상황 / 남상식
무대와 영상 그리고 탈경계의 쟁점
상호매체성과 재매개 속에서의 춤과 영상
하이브리드 공간의 영상
우스터 그룹의 다이올로직 드라마투르기 / 최영주
우스터 그룹의 역사적 의미
우스터 그룹의 다이올로직 드라마투르기
<브레이스 업!>의 다이올로직 드라마투르기 분석
얀 라우어스의 <이사벨라의 방>에서 배우와 역할 구현 / 이진아
포스트드라마 연극, 상호매체성 그리고 배우
얀 라우어스의 <이사벨라의 방>: 논리와 경계를 넘어
새로운 배우를 생각하며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1 |
20대 | 0 |
30대 | 0 |
40대 | 2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3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