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주의'에 대한 끝없는 질문을 '문학'이라는 증언을 통해 고찰해보고자 하는 글들을 한데 묶었다. 문학이론, 한국문학사, 현장 비평 등의 영역에서 높은 신망을 받아 온 한국문학 연구자들이 '민주주의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문학'을 통해 맞이한다.
목차
책머리에 / 함돈균
총론 한국문학과 민주주의 -신동엽을 기억하며 / 김인환 1장 ‘정치 혐오’의 문화적 기원과 신문소설의 여론 민주주의 -1950년대 정비석의 신문소설을 중심으로 / 이선미 2장 신동엽 시의 민주주의 미학 연구 -무엇을 희망해도 좋은가? / 조강석 3장 김수영의 사랑과 도래할 민주주의 / 오연경 4장 인민의 원한과 정치적인 것, 그리고 민주주의 -식민지 정치소설들과의 연대의식하에서 본 유신기의 두 소설 / 함돈균 5장 다중적 평등의 자유 혹은 개성적 차이의 자유 -유신기 시 비평의 두 경향 / 최현식 6장 1980년대 박노해 시의 특징과 의의 / 문혜원 7장 시가 무엇인가를 넘어서는 법 -1990년대 이후의 시 / 박수연 8장 ‘민주화’의 역설과 노동시의 새로운 양상 -민주화 이후 시대의 노동시와 한국 민주주의 / 김수이 9장 한국문학과 민주주의, 평등의 의미를 돌아보다 / 백지연 10장 데모스를 구하라 -한국소설의 종말론적 상상력 재고 / 소영현 11장 구조화된 폭력, 2000년대 소설이 그것을 묻는 세 가지 방식 -김이설, 김사과, 황정은의 소설 / 백지은 12장 현대시는 어떻게 민주주의를 증언하는가? -정치의 종언이라는 소문에 반하여 / 고봉준 13장 2000년대 한국시의 유산과 그 상속자들 -정치적 ‘대의’와 예술적 ‘재현’의 관계에 대한 노트 / 신형철
필자소개
서가브라우징
한국 구비문학의 이해2000 / 강등학 외저 / 월인
고전문학과 여성화자, 그 글쓰기의 전략2003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편 / 월인
韓國文學史의 爭點1996 / 張德順 外 지음 / 集文堂
조선시대의 열녀담론2002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편저 / 월인
한국문학과 민족주의2000 / 한국문학연구회 편 / 국학자료원
한국문학과 민족주의2000 / 한국문학연구회 편 / 국학자료원
韓國 近代文學과 日本文學2001 / 한국문학연구학회 편 / 국학자료원
한국문학과 민주주의 = Korean literature and the democracy2013 / 필자: 김인환 ; 이선미 ; 조강석 ; 오연경 ; 함돈균 ; 최현식 ; 문혜원 ; 박수연 ; 김수이 ; 백지연 ; 소영현 ; 백지은 ; 고봉준 ; 신형철 ; 엮은이: 함동균 / 소명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