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최몽룡 교수 정년퇴임논총 4편으로, 한국고고학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논문을 담고 있다. 1편 <고고학의 방법과 이론 및 고고학과 자연과학>, 2편 <한국의 선사고고학>, 3편 <한국의 역사고고학 및 고고학과 고대사>에 이어 4편 <한국의 고고학과 외국의 고고학 및 대외교류사> 등 15편의 논문이 실려 있다.
목차
나의 人生과 學問 -21세기의 한국고고학 Ⅳ권에 부처-
<권두논문> 고등학교 국사교과서 교사용 지도서-Ⅱ.선사시대의 문화와 국가의형성(고등학교) / 崔夢龍
Ⅰ. 편년
Ⅱ. 환경
Ⅲ. 한반도와 홍적세
Ⅳ. 인류의 등장
Ⅴ. 우리 민족의 기원
Ⅵ. 구석기시대
Ⅶ. 중석기시대
Ⅷ. 신석기시대
Ⅸ. 문명의 발생과 국가의 성립
Ⅹ. 고조선
Ⅺ. 철기시대
Ⅻ. 여러나라의 모습
ⅩⅢ. 후언
강원 영동지역의 구석기연구 / 최승엽
Ⅰ. 머리말
Ⅱ. 구석기유적의 분포 입지와 대표적인 유전 검토
Ⅲ. 강원 영동지역 구석기의 시기별 변화상
Ⅳ. 맺음말
동해안지역 신석기시대 중기유적의 전개양상 / 고동순
Ⅰ. 머리말
Ⅱ. 동해안지역의 신석기시대 중기유적
Ⅲ. 신석기시대 중기유적의 변화양상
Ⅳ. 맺음말
夫餘 松菊理 遺蹟의 새로운 編年 / 崔夢龍
동북한형 찌르개에 대한 소고(홍주희)
Ⅰ. 머리말
Ⅱ. 개념과 기능의 유추
Ⅲ. 찌르개의 전개과정
Ⅳ. 찌르개문화의 전개와 의미
Ⅴ. 맺음말
철기시대 강원도와 연해주 크로우노브카 문화 비교 분석 / 심재연
Ⅰ. 머리말
Ⅱ. 최근 발굴 조사된 유적 개관
Ⅲ. 유물 및 유구 검토
Ⅳ. 맺음말
곡교천유역 마한 분묘의 성격 / 이상엽
Ⅰ. 머리말
Ⅱ. 곡교천유역의 유적현황
Ⅲ. 고고학적 환경을 통해 본 마한시기 분묘의 성격
Ⅳ. 맺음말
羅州 伏岩里 大簡의 歷史考古學的 意味 / 金聖範
Ⅰ. 羅州 伏岩里 遺蹟의 考古學的 位相
Ⅱ. 羅州 伏岩里 木簡의 史的 意味
Ⅲ. 6~7世紀 榮山江流城의 政情
Ⅳ. 結論
백제 한성기 석실묘의 양상 / 성정용
Ⅰ. 머리말
Ⅱ. 한성기 석실묘 자료
Ⅲ. 석실묘 수용 양상
Ⅳ. 맺음말
大田 鷄足山城의 初築時期에 대한 再檢討 / 沈正輔
Ⅰ. 머리말
Ⅱ. 鷄足山城의 地政學的 位置
Ⅲ. 考古學的 考察
Ⅳ. 發掘調查 結果에 대한 檢討
Ⅴ. 맺음말
중국 내 고구려 산성의 성뭉에 대한 연구 / 정원철
Ⅰ. 머리말
Ⅱ. 고구려 산성 옹성문의 유형
Ⅲ. 고구려 산성 성문의 형태와 구조
Ⅳ. 맺음말
경기도 지방의 신라고분 연구 시론 / 최형균
Ⅰ. 머리말
Ⅱ. 연구현황
Ⅲ. 유적현황
Ⅳ. 경기도 지방 신라고분의 이해
Ⅴ. 맺음말
한강유역 신라고분의 구조적 특징과 성곽과의 관계 / 황보경
Ⅰ. 머리말
Ⅱ. 고분의 조사현황
Ⅲ. 고분의 특징과 부장유물
Ⅳ. 고분의 축조시기와 성곽과의 관계
하남성 남양 한대 화상석묘의 발달과 분기별 특징
Ⅰ. 머리말
Ⅱ. 남양 화상석묘 분기와 대표적 고분
Ⅲ. 맺음말
New Perspective of Clovis Blade Technology / Tae-Yong Yu
Ⅰ. Introduction
Ⅱ. Discussion of Two Arguments
Ⅲ. The Reassessment of Clovis Sites
Ⅳ. A Review of Tool Tradition in Northeast Asia
Ⅴ. Conclu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