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기사의 야마가 뭐야?” 이 책은 야마의 성격과 메커니즘 규명이라는 목표 아래, 한국 언론인이 야마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으며, 취재와 보도 과정에서 야마를 잡을 때 어떤 전략을 사용하는지, 야마를 잡을 때 현장 기자와 데스크 간에는 어떤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지, 야마 결정에 어떤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 등을 주요하게 다뤘다.
4장 ‘야마’의 구성 과정 10 아이디어 구성 단계 : ‘야마’ 설정 11 편집회의 단계 : ‘야마’ 확정 12 취재 지시 단계 : ‘야마’ 지시 13 취재 수행 단계 : ‘야마’ 지지 팩트 수집 14 기사 작성 단계 : ‘야마’ 구현 15 최종 데스킹 단계 : ‘야마’ 최종 확인
5장 사례로 본 ‘야마’ 관행 16 현장 기자와 데스크의 상호 결정 17 부서 내 공동 작업 18 부서 간 공조
6장 미디어법 보도를 통해 본 ‘야마’ 관행 19 미디어법 처리 경과 20 미디어법 주요 쟁점 21 미디어법 보도에 드러난 야마
7장 무상 급식 보도를 통해 본 ‘야마’ 관행 22 무상 급식 주요 쟁점 23 무상 급식 보도에 나타난 야마 관행
8장 ‘야마’ 관행의 발생 배경 24 업무 편의성 25 시대 변화에 따른 신문의 위상 전환 26 편집국의 영향과 기자의 순치 27 적극적 편파 28 언론사의 이해관계
9장 ‘야마’에 대한 이해 29 정파성과 ‘야마’ 30 객관주의와 ‘야마’ 31 ‘야마’와 진실, 그리고 공정성
서가브라우징
팩트체크의 정석 : 사실과 거짓은 어떻게 판단하는가 2020 / 지음: 박세용 / 한울 :
기자는 무엇으로 사는가?= what does a journalist live on?2023 / 지음: 박선규 / 미다스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