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새로운 중국 시진핑 거버넌스 : 태자당 거두 보시라이 정치 파동 전말 수록
발행연도 - 2013 / 정승욱 지음 / 함께북스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302959
-
ISBN
9788975045844
-
형태
345 p. 23 cm
-
한국십진분류
사회과학
>
정치학
>
-
카테고리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
>
각국정치
목차
추천사 / [전남도지사] 박준영
추천사 / [선문대학교 총장] 황선조
서문
1장 2022년을 겨냥한 시진핑의 새 정치 패러다임
대내외 전략의 기본은 법치와 패권
중국 정치의 기본은 공산당 정권 유지
톈안먼 사태 후유증은 여전히 진행 중
아직 드러나지 않은 시진핑의 통치 컬러
민주 정치 특구의 좌절
정치 안정의 변수들
여전한 톈안먼 사태 후유증
명목뿐인 8개의 정당들
보수파와 개혁파의 공방 - 보편적 가치의 논쟁
언론 자유의 한계
실패한 후진타오의 부패방지 대책
정체성 정립에 안간힘
2장 시진핑, 리커창 등 혁명 5세대 지도부의 컬러
18차 공산당 대표대회서 새 중앙위원205명, 정치국 위원25명 뽑아
시진핑은 각 계파 간 힘의 균형점
신중·소극적이라는 비판 속에 조화의 리더십
시진핑의 배후 지원 그룹은 대만계열의 기업집단
‘포스트 시진핑’에 대비하는 떠오르는 별들은 1960년대생
중앙위원 선출은 계파별로 안배
비교적 안정적인 권력 승계 이루어져
공산당의 엘리트 충원의 방식
20년 후를 내다보는 예측 가능한 중국 정치
주룽지가 중국의 경제 지휘자
3장 공산당 거버넌스의 실상
중국 모델에 자신감
공산당의 통치 능력은 어디에서 나올까
공산당 거버넌스의 수명
2020년 세계 1위 목표-중·미 역전
중국 경제는 순조롭게 성장할까
양으로부터 질로 구조 전환
한탕 해먹는 부패 지방 관리와 토지 졸부
공산당 명령이 하달되는 붉은색 전화기
4장 보시라이 사건은 권력 쟁탈전의 시작
야심만만한 보시라이의 낙마는 힘의 대결의 결과
측근의 청뚜 주재 미국영사관 망명이 치명상
보시라이 사건의 후유증
‘보’ 사건은 린뱌오 탈출 사건 이후 최대 정치 파동
5장 떠오르는 권력 태자당과 수성 권력 공청단의 대결
시진핑의 킹메이커 쩡칭흥
시진핑 측근 태자당 핵심 인사들 전면에 나서
태자당의 이권 챙기기와 부작용
권력층 집안의 재력과 이권 챙기기
공청단과 태자당의 전략적 연대
찬량위, 시진핑, 보시라이의 비교
후진타오와 시진핑의 공통점
후진타오 시진핑의 권력 투쟁
궁지에 몰린 태자당
시진핑과 보시라이의 노선 차이
최대 이권 집단 석유방과 정치판 인연
6장 난제 산적한 중국 경제의 현안과 대안들
중국 경제의 버팀목은 풍부한 우수 노동력
서방이 중국의 부상을 두려워하는 이유
조만간 난제에 부닥칠 부동산 거품
거품은 조만간 폭발할 것이다
인플레이션과 버블에 대한 우려
연착륙, 경착륙 따위의 한담을 논할 때가 아니다
중국공산당의 한계
중국 경제 발목을 잡는 요인들
삼성전자 시안에 세계 최대 낸드플래시 공장 설립
7장 기축통화 노리는 위안화 파워
위안화 환율
달러 가치를 놓고 줄다리기
중국의 현금 준비금 다각화 전략
중국의 금융 대처법
위안화 기축 통화 전략으로 난국 돌파는 가능할까
8장 중국과 미국, 대결인가 상호 보완인가
센카쿠 열도 다툼은 중·미 대결의 전초전
미·중 갈등은 영국·독일 갈등의 재판
태평양에서 미국 패권 시대는 끝나가고 있다
동아시아에서 벌어지는 군비경쟁
중국의 해양대국화의 목적
9장 북한은 중국의 입술이자 새로운 성장동력
장성택 중국 공식 방문
북·중 관계는 특수한 동맹
북·중 권력자 시진핑과 김정은
중국의 대북한 시각의 단면
중국은 북한 변화의 추동력이다
10장 시진핑을 둘러싼 주요 인물들 해설
리커창 총리(내정)-당 서열2위
장더장 전인대 상무위원장(내정)-당 서열3위
위정성 정협 주석(내정)-당 서열4위
류윈산-당 서열5위
왕치산 당-서열6위
장가오리-당 서열7위
리위안차오-후진타오의 복심
왕양-차기 정권 다크호스
류옌둥-여성 정치인 중 최고위직
후춘화-2022년 6세대 지도부 선두주자
쑨정차이-2022년 6세대 지도부 총리 후보
리잔수-시진핑 총서기의 문고리
펑리위안-중국의 카를라 브루니
결론
참고 문헌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2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