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선박생산자동화 = Shipbuilding technology & production system
발행연도 - 2012 / 奧本泰久 저 ; 김옥삼 역 / GS인터비전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보존서고(일반)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290090
-
ISBN
9788997231140
-
형태
294 p. 25 cm
-
한국십진분류
기술과학
>
기계공학
>
기타 공학
-
카테고리분류
과학/기술
>
지구과학
>
해양과학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조선시스템의 역사, 선박 건조시스템, 선박생산 계획과 관리, 선박 설계 현도 및 생산설계, CNC절단, 강판의 굽힘가공, 용접의 자동화, 변형의 교정, 선박 의장 및 도장의 자동화 마지막으로 공작오차와 정밀도 등을 자세하게 다루고 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머리말
차례
1. 선박생산 시스템의 역사
1.1 개요
1.2 생산설계와 NC의 발전
1.3 선도 시스템
1.4 외판 전개
1.5 선각부재 일품처리
1.6 상세설계로부터 생산설계
1.7 CIM의 개발과 보급
1.8 로봇화
1.9 기본 설계, 견적 설계, 경영ㆍ공장관리
1.10 조선 시스템의 향후 동향
2. 건조 시스템
2.1 건조 프로세스
2.1.1 개요
2.1.2 소조립
2.1.3 대조립
2.1.4 선행의장, 총조립
2.1.5 외업공정
2.2 블록 분할
2.2.1 블록 분할요령
2.2.2 블록분할의 실제
3. 생산계획과 관리
3.1 생산관리
3.1.1 생산계획
3.1.2 인력계획
3.1.3 설비계획
3.1.4 공정수 관리
3.2 일정계획
3.2.1 일정계획
3.2.2 조선업의 특징
3.2.3 일정계획의 상세
3.3 스케줄링 시스템
3.3.1 개요
3.3.2 스케줄의 계획
3.3.3 자재조달 일정계획
3.3.4 의장품 조달관리 시스템
3.3.5 강재조달 관리시스템
3.3.6 설계와 제조 일정계획
3.4 안전관리
3.4.1 개요
3.4.2 조선업계의 재해통계
3.4.3 사고 원인과 대책
3.4.4 과학적 안전관리
4. 현도ㆍ생산설계
4.1 현도
4.1.1 현도의 역할
4.1.2 현도형태의 변천
4.2 조선시스템의 고유표현
4.2.1 몰드라인과 판 여유
4.2.2 부재 끝단의 처리
4.2.3 각도 정보
4.2.4 외판곡면 표현
4.2.5 늘림
4.3 생산설계의 수치처리
4.3.1 기본데이터
4.3.2 선각부재의 수치전개
4.4 선각 재료준비
4.4.1 대략 전달 계획과 재료발주
4.4.2 재료발주와 납기
4.5 절단 및 구부림 가공 정보의 작성
4.5.1 절단 계획
4.5.2 네스팅 작업
4.5.3 NC퍼레이터 계획
4.5.4 치수도
4.6 조립 정보
4.6.1 부품표
4.6.2 조립도 및 조립정보의 작성
5. NC 절단
5.1 NC 절단의 개요
5.2 NC 기계의 시스템
5.2.1 절단기 형식
5.2.2 기체 구동의 형식
5.2.3 용융 절단의 종류
5.2.4 복수 일체형 토치와 1개 토치
5.2.5 기계 메이커와 조선소의 차이
5.3 NC 포맷
5.3.1 NC 포맷의 개요
5.3.2 형상의 표시
5.3.3 잘린폭 보정
5.4 NC 시스템의 구성
5.4.1 시스템구성
5.4.2 네스팅 시스템
5.4.3 커터 패스
5.4.4 포스트 프로세스
5.5 판 부품의 형상 데이터
5.5.1 부품의 형상과 단면의 절단
5.5.2 부품 끝단면의 그루브 종류
5.6 NC 절단을 위한 중간 데이터
5.6.1 부품 주위를 구성하는 각 변의 정보
5.6.2 부품 주변의 절단방향
6. 강판의 굽힘 가공
6.1 개요
6.2 현행 요철 프로세스
6.2.1 굽힘가공의 순서
6.2.2 냉간 굽힘
6.2.3 가열 굽힘
6.2.4 목표 형상을 만들기 위한 가열 방안
6.3 기능의 자동화ㆍ기술화에 따른 대응
6.3.1 기능의 기술화로의 조립공정의 역사
6.3.2 기술의 실용화 사례
6.3.3 개발 경험과 기능
6.3.4 현상 기술 도달점과 기능지원의 전망
6.4 조재(條材)의 굽힘
6.4.1 개요
6.4.2 굽힘의 프로세스
6.4.3 냉간 굽힘
6.4.4 가열 굽힘
6.4.5 조재 굽힘의 자동화ㆍ기술화
7. 용접자동화
7.1 조선분야의 용접 역사
7.2 주된 용접법
7.3 용접 조립 시공법
7.4 용접 로봇
7.4.1 조선분야의 용접로봇 개발
7.4.2 로봇의 교시방식
7.4.3 조선의 용접 로봇 시스템
7.4.4 용접 로봇 도입시 검토과제
8. 변형의 교정
8.1 개요
8.2 변형 발생
8.3 용접 변형이 적은 시공법
8.4 냉간 교정
8.5 가열 교정
8.6 교정 기계
9. 의장ㆍ도장의 진화
9.1 의장공사의 진화
9.2 재료 준비
9.2.1 자재 조정 시스템
9.2.2 자재 조정 시스템의 처리
9.3 의장공사의 새로운 시도
9.3.1 조립 시뮬레이션과 컴퓨터 이용
9.3.2 몸에 부착하는 컴퓨터 적용
9.3.3 RFID의 이용
9.4 도장 로봇
9.4.1 개요
9.4.2 이중 바닥용 도장 로봇
10. 공작오차와 정밀도
10.1 개요
10.2 공작 정밀도 관리 목적
10.3 용접변형과 잔류응력의 발생기구
10.3.1 가열시의 재료 특성
10.3.2 용접에 의한 변형
10.3.3 열응력
10.3.4 잔류응력의 발생기구
10.4 공작오차의 요인
10.4.1 블록형상의 오차요인
10.4.2 소재의 정밀도
10.4.3 절단 정밀도
10.4.4 용접에 의한 변형
10.4.5 비틀림에 의한 변형
10.4.6 설치 정밀도
10.4.7 누적오차
10.5 용접변형 예측
10.5.1 용접 입열의 취급
10.5.2 용접 변형 계산
10.6 정밀도 관리 현황
10.6.1 정밀도 관리
10.6.2 연신
10.7 일본 강재선박 공작법 정밀도기준
10.8 정밀도 계측
10.8.1 계측법
10.8.2 선각블록의 형상계측
찾아보기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