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서문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목적
제2절 선행연구의 검토
제3절 연구방법 및 범위
1. 연구방법 및 범위
2. 연구의 구성
제2자 연구의 이론적 배경과 분석틀
제1절 연구의 이론적 배경
1. 협상의 개념과 제이론
2. ‘국가이익’과 합리적 결정이론
제2절 분석틀 구성
1. 분석 개념
2. 북한 ‘대남협상 필터’의 구조
3. 대남협상 필터를 적용한 북한 대남협상의 유형의 결정
제3장 남북조절위회담의 중단과 재개
제1절 남북조절위회담의 성사배경
1. 국제 데탕트 무드
2. 북한의 남한 체제에 대한 자신감
3. 남한의 남북대화에 대한 인식
제2절 남북조절위회담의 전개과정
1. 비밀접촉과 7ㆍ4남북공동성명
2. 남북조절위 본회담의 진행
3. 낮은 수준 회담으로서의 부위원장회의
제3절 남북조절위 본회담의 중단 및 재개요인 분석
1. 일시 중단요인 분석
2. “낮은 수준” 으로의 회담 재개요인 분석
3. 완전 중단요인 분석
4. 조절위회담의 중단 및 재개요인 종합
제4장 남북고위급회담의 중단과 재개
제1절 남북고위급회담의 성사배경
1. 동구 사회주의권 붕괴와 소련 해체
2. 북한의 경제난
3. 남한의 북방정책
제2절 남북고위급회담의 진행과정
1. 남북고위급 예비회담(1~8차)
2. 남북고위급 본회담 진행과 북한의 남북대화 중단선언
3. 낮은 수준의 회담진행과 남북대화의 완전 중단
제3절 남북고위급회담의 중단 및 재개요인 분석
1. 일시 중단요인 분석
2. “낮은 수준” 으로의 회담 재개요인 분석
3. 완전 중단요인 분석
4. 남북고위급회담의 중단 및 재개요인 종합
제5장 남북장관급회담의 중단과 재개
제1절 남북장관급회담의 성사배경
1. 북ㆍ미관계의 악화
2. 북한의 경제적 위기 심화와 김대중 정권에 대한 시험
3. 김대중 정권의 대북화해협력정책
제2절 남북장관급회담의 진행과정
1. 남북정상회담과 장관급회담의 개시
2. 특사 방북과 남북장관급회담의 재개
3. 제15~21차 남북장관급회담의 중단과 재개
제3절 남북장관급회담의 중단 및 재개요인 분석
1. 장관급회담 ‘1차중단’ (2001.3.13) 시기
2. 장관급회담 ‘2차중단’ (2001.11.14) 시기
3. 장관급회담 ‘3차중단’ (2004.7.8) 시기
4. 남북장관급회담의 중단 및 재개유형
제6장 북한 대남협상 중단 및 재개유형의 특징
제1절 중단유형의 특징
제2절 재개유형의 특징
제3절 중단과 재개유형의 공통점과 차이점
제7장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