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국의 지성, 통합을 말하다 = American intellectuals and the search for unity
발행연도 - 2012 / 이형대 지음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281489
-
ISBN
9788952112545
-
형태
xiv, 631 p. 24 cm
-
한국십진분류
철학
>
서양철학
>
미국철학
-
카테고리분류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일반
책소개
미국학 총서 8번째 책. 광대한 영토와 다양한 인종, 여러 종교와 사상이 공존하는 미국에서, 당대의 지성들은 어떻게 극단과 분열을 극복하려 했을까? 미국 지성사를 전공하고 미국사를 가르치는 이형대 메릴랜드대 교수는 미국의 지적 전통에서 그 근원을 찾는다.
목차
책을 펴내며
프롤로그
1. 남북전쟁 이후 통합정신의 형성 _오레스티스 A. 브라운슨과 『아메리카 공화국』(1866)
생애와 사상
생애와 사상의 원천
자유사상에서 급진주의 사상으로
권위와 질서에 기초한 사회진보 추구
가톨릭으로의 개종과 사회통합 추구
보수주의 정치이론에 나타난 통합사상
『아메리카 공화국』(1866)
정부의 본질에 대한 이해
연방헌법과 미국에 대한 신학적 해석
미국 민주주의에 대한 신학적 해석
미국의 운명과 통합을 위하여
미국 지성사에서의 위치와 유산
2. 사회제도 개혁에 의한 사회통합 추구 _헨리 조지와 『진보와 빈곤』(1879)
생애와 사상
생애와 사상의 원천
개혁 정신과 정치
토지개혁 정신의 원천
보수주의 지성계에 대한 반항
문명의 진보와 통합의 추구
『진보와 빈곤』(1879)
물질적 진보와 빈곤의 모순관계
빈곤의 근원적인 해결책으로 토지개혁 제시
정치경제학을 넘어 통합사상으로
개인들의 창조적 통합에 의한 문명의 진보 추구
미국 지성사에서의 위치와 유산
3. 전통과 제도에 의한 유기적 사회통합 추구 _윌리엄 그레이엄 섬너와 『사회계급들 간의 상호 협력』(1883)
생애와 사상
생애와 사상의 원천
유럽 사상과 과학의 수용
자연주의적 진화로부터 국민적 통합 추구
‘민습’을 통한 도덕적 가치기준의 추구
보수적 정치경제학과 사회과학에 의한 사회통합 추구
『사회계급들 간의 상호 협력』 (1883)
자연주의 사상에서 개인의 위치
자연주의 사상에서 자유의 개념
자연주의 사상에서 자본의 개념
자연주의 사상에 나타난 보수주의와 통합정신
미국 지성사에서의 위치와 유산
4. 프래그머티즘에 의한 전체와 부분들의 역동적 통합 추구 _윌리엄 제임스와 『심리학 원리』(1890)
생애와 사상
생애와 사상의 원천
스펜서의 정신개념에 대한 도전과 현대 정신의 이해
개인과 세계의 역동적 관계에 의한 통합 추구
개인의 다양한 경험에 의한 통합 추구
중도의 철학에 의한 인간과 세계의 통합 추구
『심리학 원리』(1890)
습관과 정신의 문제, 그리고 정신과 물질의 관계
사고의 흐름과 세계
자유의지에 의한 인간 정신의 확대
정신·경험·진리
미국 지성사에서의 위치와 유산
5. 전통과 진보의 융합에 의한 사회통합 추구 _존 듀이와 『민주주의와 교육』(1916)
생애와 사상
생애와 사상의 원천
공통 경험에 의한 통합 추구
미국 정신의 새로운 종합 추구
공통 신념에 의한 국민의 통합 추구
미국의 창조적·협력적 자기실현에 의한 통합 추구
『민주주의와 교육』(1916)
새로운 민주주의 이상에 의한 다원론적 사회의 통합 추구
서양 지성사의 강을 넘어 사회통합 추구
경험의 새로운 의미에 의한 개인과 세계의 통합 추구
문명의 진보와 과학적 지성에 의한 사회통합 추구
미국 지성사에서의 위치와 유산
6. 문명과 종교의 융화에 의한 유기적 사회통합 추구 _라인홀드 니버와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1932)
생애와 사상
생애와 사상의 원천
문명과 종교의 융화 추구
사회윤리의 새로운 기반에 의한 유기적 통합 추구
민주주의의 확고한 개념적 기반에 의한 사회통합 추구
신앙과 역사를 통한 미국의 의미 추구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1932)
인간 사회의 통합을 위한 전제
국제 문제의 도덕적 해결에 대한 비판과 반성
계급의 본질에 대한 이해와 사회정의 추구
문명의 비극을 넘어 문명의 통합 추구
미국 지성사에서의 위치와 유산
7. 전체주의의 위협으로부터 자유사회의 통합 추구 _아서 M. 슐레진저 2세와 『역동적 중심』(1949)
생애와 사상
생애와 사상의 원천
자유민주주의의 역동적 기반에 의한 사회통합 추구
정치의 역동성에 의한 진보와 보수의 통합 추구
자유주의 전통의 회복에 의한
사회통합 추구
E Pluribus Unum의 정신에 의한 국민통합 추구
『역동적 중심』(1949)
산업화와 역사의 딜레마
우파와 좌파의 실패
자유사회와 전체주의의 도전
역동적 중심의 회복에 의한 사회통합 추구
미국 지성사에서의 위치와 유산
8. 전통적 가치관에 의한 사회통합 추구 _월터 리프먼과 『공공의 철학』(1955)
생애와 사상
생애와 사상의 원천
인간적 정치에 의한 사회통합 추구
학적·민주적 정신에 의한 다원적 사회의 통합 추구
현대 문명의 역사성과 창조성에
의한 사회통합 추구
전통적 자유주의 가치관에 의한 사회통합 추구
『공공의 철학』(1955)
서양의 위기와 대중의 한계에 대한 인식
유기적 국민과 공동체에 의한 통합사회 추구
현대 세계에서 공공의 철학과 자연법의 의미
다원적 세계에서 전통과 역사에 의한 통합사회 추구
미국 지성사에서의 위치와 유산
9. 흑백의 분열과 갈등을 넘어 통합사회 추구 _마틴 루서 킹 2세와 『왜 우리는 기다릴 수 없는가』(1964)
생애와 사상
생애와 사상의 원천
통합사회를 위한 사회복음과 성직자의 역할
마르크스주의와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적 이해
비폭력주의에 의한 흑백의 화해와 상호 인격의 회복
통합사상의 철학적 의미
『왜 우리는 기다릴 수 없는가』(1964)
흑인혁명에서 나타난 통합정신
비폭력 직접행동에 의한 버밍햄의 인종통합 추구
버밍햄 옥중서신에 나타난 통합정신
인종통합에 의한 미국 민주주의의 완성
미국 지성사에서의 위치와 유산
10. 진보에 대한 반성과 민중정신에 의한 사회통합 추구 _크리스토퍼 래쉬와 『엘리트의 반란과 민주주의의 배반』(1995)
생애와 사상
생애와 사상의 원천
현대 자유주의에 대한 비판과 통합사회 추구
나르시시즘의 문화와 전통적 개인주의 정신의 위기
문명의 진보에 대한 성찰과 통합사회 추구
포스트모던 지성과 미국 지성계의 분열
『엘리트의 반란과 민주주의의 배반』(1995)
엘리트의 반란과 사회의 분열
공동체 의식과 민중정신에 의한 통합사회 추구
인문학의 위기와 도덕의 붕괴
진보의 허영과 어두운 영혼의 밤
미국 지성사에서의 위치와 유산
에필로그
참고문헌
찾아보기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1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1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