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음서와 초기 문헌을 통해 역사적 예수의 전 생애와 그 메시지를 밝혀낸 역작이다. 소기천, 윤철원, 최갑종, 존 P. 마이어, 크리스토퍼 터킷, 페터 슈툴마허 등이 추천했다. 이 책에서 제임스 던은 복음서가 목격자들의 기억을 통해 보존된 예수 전승에 기초하고 있다고 주장함으로써 역사적 예수와 복음서의 예수 그리고 초기 기독교 공동체 사이에 강력한 연결 고리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목차
약어
제3부 예수의 선교 제13장 예수는 자신의 메시지를 누구에게 선포했는가? 13.1 예수 듣기 13.2 부름 13.3 이스라엘에게 13.4 가난한 자에게 13.5 죄인들에게 13.6 여성들 13.7 이방인들 13.8 제자직 동아리들 제14장 제자직의 성격 14.1 왕의 신하들 14.2 아버지의 자녀들 14.3 예수의 제자들 14.4 의로움에 대한 굶주림 14.5 동기 부여로서의 사랑 14.6 용서받기 위해 용서하기 14.7 새로운 가족? 14.8 열린 교제 14.9 임하는 그 나라의 관점에서 살아가기
제4부 예수의 자기 이해에 대한 물음들 제15장 그들은 예수를 누구라고 생각했는가? 15.1 예수는 누구였는가? 15.2 왕적 메시아 15.3 예수의 선교 기간 내의 쟁점 15.4 거부된 역할 15.5 제사장적 메시아 15.6 예언자 15.7 ‘비범한 행위의 실천자’ 15.8 교사 제16장 예수는 자신의 역할을 어떻게 보았는가? 16.1 종말론적 대리인 16.2 하나님의 아들 16.3 인자: 쟁점들 16.4 인자: 증거 16.5 인자: 하나의 가설 16.6 결론
제5부 예수 선교의 절정 제17장 본디오 빌라도에게 십자가에 못 박히시고 17.1 예수의 마지막 주에 대한 전통 17.2 예수는 왜 처형당했는가? 17.3 예수는 왜 예루살렘에 올라갔는가? 17.4 예수는 자신의 죽음을 예견했는가? 17.5 예수는 자신의 예상된 죽음에 의미를 부여했는가? 17.6 예수는 죽음 이후 신원을 희망했는가? 제18장 다시 살아나사 18.1 왜 여기서 멈추지 않는가? 18.2 빈 무덤 전통 18.3 나타남의 전통 18.4 전통들 내부의 전통 18.5 왜 ‘부활’인가? 18.6 마지막 은유 제19장 기억된 예수 19.1 예수 전통에 대한 새로운 관점 19.2 예수의 목표(들)에 대하여 무엇을 말할 수 있는가? 19.3 계속되는 예수 선교의 영향
참고 문헌 인명 색인 주제 색인 성경 및 고대 문헌 색인 역자 후기
서가브라우징
헤겔의 역사철학 : 삼위일체론과 메시아니즘의 지평에서 본 헤겔 철학 이해 2020 / 지음: 김균진 / HolyWavePlus(새물결플러스)
헤겔 좌파 연구 : 헤겔과 포이어바하, 마르크스, 키에르케골, 니체, 브루노, 슈트라우스, 슈티르너의 관계 2023 / 지음: 김균진 / Holy Waveplus(새물결플러스)
헤겔 좌파 연구 : 헤겔과 포이어바하, 마르크스, 키에르케골, 니체, 브루노, 슈트라우스, 슈티르너의 관계 2023 / 지음: 김균진 / Holy Waveplus(새물결플러스)
예수운동 : 역사와 신학 : 김근수 신학인문 2024 / 지음: 김근수 / 논형
루터 vs 칼뱅 = Martin Luther vs Jean Calvin2018 / 지음: 김재성 / 세창출판사
하나님의 도성, 그 빛과 그림자 : 기독교 사상의 저수지, 아우구스티누스의 《하나님의 도성》해설2018 / 지음: 김회권 / 비아토르
예수와 기독교의 기원. 상 : 역사적 예수, 복음서의 예수 그리고 하나님 나라 2010 / 제임스 던지음 ; 차정식 옮김 / 새물결플러스
예수와 기독교의 기원. 하 : 역사적 예수, 복음서의 예수 그리고 하나님 나라 2012 / 제임스 던지음 ; 차정식 옮김 / 새물결플러스
기독교 인물 사상 사전2016 / 지음: 토니 레인 ; [공]옮김: 박도웅, 양정호 / 홍성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