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근대의 가족, 근대의 결혼 : 가족과 결혼으로 본 근대 한국의 풍경
발행연도 - 2012 / 김경일 지음 / 푸른역사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280579
-
ISBN
9788994079646
-
형태
479 p. 23 cm
-
한국십진분류
사회과학
>
사회학, 사회문제
>
사회조직 및 제도
-
카테고리분류
역사/문화
>
한국사
>
한국근현대사
책소개
가족과 결혼으로 본 근대 한국의 풍경. 1920~30년대를 대상으로 이 시기 가족 및 결혼과 관련하여 제기되는 여러 문제 영역들, 예를 들면 결혼과 조혼, 가족과 현모양처, 이혼, 가족의 대안 형태들을 살펴본다. 저자가 2004년 펴낸 <여성의 근대, 근대의 여성>의 자매편이다.
목차
책머리에
1부 결혼
1장 결혼의 이상과 자유결혼
자유결혼의 적들: 1920년대
이상적 결혼의 통속화: 1930년대 이후
사랑이라는 이상과 결혼이라는 현실
결혼의 조건
2장 결혼 과정과 실태
중매결혼과 연애결혼
구식 결혼과 신식 결혼
여성의 재혼 문제
결혼 연령의 추이
시기별, 지역별 추이
결혼 추이의 변화에 대한 설명
3장 조혼
조혼의 개념과 실태
조혼의 원인에 대한 설명
조혼의 유형과 분류
조혼과 여성 범죄
조혼에 대한 대응과 저항
2부 가족
4장 가족
식민 권력의 여성·가족관
전통 가족에 대한 도전: 사회와 개인
가족 논쟁과 근대 가족으로의 여정
근대 가족(1): 아내로서 여성
근대 가족(2): 모성과 여성
5장 현모양처
동아시아의 맥락에서 본 현모양처주의
현모양처론의 쟁점들
현모양처의 이념
6장 정조
정조에 대한 이념적 견해들
3부 이혼
7장 이혼의 추이와 실태
이혼의 관습과 근대 이혼
이혼 수의 시기별 추이
이혼율의 변화
연령별 분포
지방별 분포
8장 이혼 문제와 이혼의 원인
이혼 문제의 대두와 이혼 인식의 변화
이혼 현상에 대한 설명
9장 이혼에서 신구 대립과 근대의 지식
1920년대의 이혼 논쟁
1930년대 제2부인의 등장
4부 대안과 비전
10장 결혼과 가족의 대안 형태들
일시적 별거
독신 생활
시험결혼과 우애결혼
이성 사이의 우애
대안 가족
주석
참고문헌
찾아보기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