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아시아 회화 교류사 : 한·중·일 고분벽화에서 실경산수화까지
발행연도 - 2012 / 한정희 지음 / 사회평론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2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279443
-
ISBN
9788964355336
-
형태
440 p. 24 cm
-
한국십진분류
예술
>
회화, 도화
>
시대별 및 국별 회화
-
카테고리분류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사
책소개
‘교류’의 관점으로 동아시아 회화사에 접근한 책이다. 다루는 주제는 고분벽화에서 실경산수화, 그리고 방고회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이 책은 한.중.일 미술이 이미 고유한 상태로 존재하여 한쪽이 스타일을 전파하고, 다른 한쪽은 이를 수용한다는 일방향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세 지역이 한 시대를 공유하며 어떠한 흐름을 만들어갔는지에 주목한다.
목차
책을 펴내며
Ⅰ. 한국 회화의 대외교류
1. 머리말
2. 삼국시대
3. 고려시대
4. 조선시대
1) 조선 초기
2) 조선 중기
3) 조선 후기
4) 조선 말기
Ⅱ. 고구려 벽화와 중국 육조시대 벽화의 비교 연구
1. 머리말
2. 비교 대상의 벽화고분
3. 고분의 구조와 벽화 배치형식의 비교
1) 구조
2) 벽화의 배치형식
4. 벽화의 주제 비교
5. 맺음말
Ⅲ. 고구려 고분벽화와 중국의 고분벽화
1. 한국과 중국의 고분벽화 개관
2. 한·중 벽화고분의 건축구조
3. 한·중 고분벽화의 주제 비교
1) 묘주도
2) 관리·시인도
3) 행렬도
4) 수렵도
5) 대련도
6) 무인·역사
7) 연회도
8) 신괴도
9) 사신도
4. 한·중 고분벽화의 독자적 측면
Ⅳ. 중국 분묘 벽화에 보이는 묘주도의 변천
1. 머리말
2. 한대의 묘주도: 신격화된 묘주
3. 육조시대의 묘주도: 인간으로서의 묘주
4. 송대-명대의 묘주도: 세속 일상 속의 묘주
5. 맺음말
Ⅴ. 고려 및 조선 초기 고분벽화와 중국 벽화와의 관련성 연구
1. 머리말
2. 고려 및 조선 초기 고분벽화의 현황과 주제
3. 십이지상의 표현
4. 송, 죽, 매의 표현
5. 생활풍속도
1) 공양행렬도
2) 출행도(말과 마부도)
6. 맺음말
Ⅵ. 조선 전반기 회화의 대중 교섭
1. 머리말
2. 사행을 통한 인적 교류
1) 조선 초기
2) 조선 중기
3. 화적을 통해 본 회화 교섭
1) 조선 초기
2) 조선 중기
4. 중국 화풍의 유입
1) 조선 초기
2) 조선 중기
5. 맺음말
Ⅶ. 17·18세기 동아시아 실경산수화의 성행과 그 의미
1. 머리말
2. 실경산수화 성행의 몇 가지 요인
3. 특정 지역과 화풍의 편향성
4. 한·중·일 삼국의 표현상 차이
5. 맺음말
Ⅷ. 강세황의 중국과 서양 화법 수용 양상
1. 머리말
2. 중국 화보 화풍의 수용
3. 방작의 수용 양상
4. 안휘파 화풍의 수용
5. 서양 화법의 수용과 변용
6. 맺음말
Ⅸ. 한·중·일 삼국의 방고회화 비교론
1. 머리말
2. 중국의 방작
3. 한국의 방작
4. 일본의 방작
5. 삼국의 방작 비교론
6. 맺음말
Ⅹ. 18·19세기 정통파 화풍을 통해 본 동아시아의 회화 교류
1. 머리말
2. 중국 정통파 화풍의 전개
3. 정통파 화풍의 한국 유입
4. 정통파 화풍의 일본 유입
5. 맺음말
ⅩⅠ. 조선 말기 중국화의 유입 양상 - 호림박물관 소장 <백납 6곡병> 한 쌍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 19세기 중국화의 유입 양상
3. 호림박물관 소장의 <백납 6곡병> 한 쌍
1) 병풍의 화면 구성
2) 화목별 표현 양태
(1) 산수화
(2) 화조·화훼초충 및 사군자와 괴석
3) 제작 시기 및 제작자 문제
4. <백납 6곡병> 한 쌍과 관련된 조선 말기의 회화
1) 산수화
2) 화조·화훼초충·어해 및 사군자와 괴석
5. 맺음말
ⅩⅡ. 회화와 도자를 통해 본 근세 동아시아의 미술과 생활
1. 머리말
2. 생활 속의 회화
3. 생활 속의 도자기
4. 회화로 장식된 도자기의 활용
5. 맺음말
ⅩⅢ. International Exchanges of Korean Painting
1. Three Kingdoms Period
2. Goryeo Period
3. Joseon Period
1) Early Joseon
2) Mid Joseon
3) Late Joseon
4) The final period of Joseon
ⅩⅣ. 繪畵と陶磁を通じてみた近世の東アジアの美術と生活
1. はじめに
2. 生活の中の繪畵
3. 生活の中の陶磁器
4. 繪畵化さてた陶磁器の活用
5. 結論
도판목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