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최초의 원내 진출 진보정당 민주노동당, 그 8년에 걸친 정파 갈등의 역사.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 한때는 한솥밥을 먹던 두 진보정당의 ‘협상 결렬’의 근원을 다시 한 번 돌아본다. 과거 민주노동당 부설 진보정치연구소에서 일했지만 정파 갈등에 무력감을 느끼고 당을 떠난 이력을 가진 <파벌>의 저자 정영태는 민주노동당 창당에서 분당에 이르는 정파 갈등의 역사 속에서 그 성찰과 반성의 길을 찾는다.
목차
들어가며
1장 서론 - 어느 정당의 ‘정당’한 파벌들
2장 이론 - 창당과 분당에 관한
1. 조직 통합을 통한 창당
2. 파벌연합 정당의 분당
3장 창당 - 정치운동 조직의 ‘연합’
1. 민주노동당 파벌의 기원과 성격
2. 한 지붕 두 가족의 탄생
3. 통합의 유인과 분열의 불씨
4장 파벌 - 민주노동당 파벌의 특징과 갈등 요인
1. 파벌, 지배적인 균열 구조
2. 파벌의 특징과 갈등 요인
3. 제도 정비와 민주노동당의 성장
CMS 도입과 제도 정비
성장 그리고 원내 진출
5장 갈등 - 두 번의 총선과 두 번의 대선
1. 2000년 창당부터 2004년 총선까지
2. 2004년 총선 이후 2007년 대선까지
사건과 진상 - 당규와 당권을 둘러싼 갈등
정파 셋팅 선거 - 제도를 둘러싼 파벌 갈등
이념과 노선을 둘러싼 갈등
열린우리당 ‘개혁 공조’와 ‘2중대론’
북한의 핵 보유 선언과 지하 핵실험
‘일심회’
사회연대전략
‘코리아 연방공화국’
6장 분당 - 거세진 파벌 갈등과 탈당 사태
1. 거세진 파벌 갈등
대선 패배와 종북.패권주의 논쟁
갈등의 확산과 비대위의 좌초
2.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너다
격화된 갈등
탈당과 신당 창당
7장 결론 - 역사의 반복을 막기 위해
1. 한 번의 비극을 돌아보며
2. 또 한 번의 희극을 막기 위해
참고문헌
찾아보기
부록
1. 민주노동당 기구 변화
2. 첫 번째 시기의 파벌 갈등과 처리 방식
3. 두 번째 시기의 주요 파벌 갈등과 처리 방식
4. 북한 핵개발 과정과 북미 갈등(1950년대 후반~2009년 5월)
5. 북한 핵 관련 사건과 당내 파벌 갈등 - 1차(2002년 10월~2003년 7월)
6. 북한 핵 관련 사건과 당내 파벌 갈등 - 2차(2005년 2월)
7. 북한 핵실험 관련 당내 파벌 갈등 - 3차(2006년 10월)
8. ‘일심회’ 사건 관련 일지
9. 2007년 대통령 선거 슬로건을 둘러싼 파벌 갈등
10. 세 번째 시기 주요 갈등과 처리 방식
11. 지식인들의 개입
12. 평등파 계열 당원의 탈당과 신당 건설 과정 - 2008년 1월부터 4월 총선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