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도서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한국의 오리아나 팔라치 박에스더 기자가 전하는 대한민국의 불편한 진실. 그녀는 마흔 해 동안 대한민국의 시민으로 살아온 자신의 실수와 오해들, 부적응증까지 죄다 까발리며, 진짜 대한민국의 속살을 파헤친다. 세계 10위의 경제대국이 되었지만 아직은 거기에 어울리지 않는 우리의 의식수준, ‘글로벌’을 외치지만 아직도 우물 속을 편안해하는 우리의 안일한 모습을 파헤친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Prologue - 다른 대한민국을 향해! 변화는 이미 시작되었다

Part 1. 어느 조직사회 지진아의 좌절 고백
“야, 너 몇 살이야?”
그 청년은 왜 따귀를 맞았나?
“나는 이래서 한국이 싫어!”
우리 사회의 해체되지 않은 권위주의
나는 싸가지 없는 후배였다
조직 위계의 비밀스러운 논리와 질서
“박에스더는 동기도 물 먹인다며?”
하나만 알고 둘은 몰랐다
폭탄주 정치학
“군대 안 갔다 온 놈하고는 얘기도 하지 마!”
술 잘 마시는 여기자
폭탄주 정치학
위계를 벗어난 강의실 풍경
“찬 물에도 위아래가 있거늘.”
장유유서를 먹고 자란 권위주의
위아래는 확실하게?
나의 미국인 ‘베프’들
“진심이든 아니든, 너는 윗사람에 대한 예의를 지켜!”
의심할 줄 몰랐던 ‘온실 속의 화초’
운동권’도 깨지 못한 권위주의의 견고함
내용보다 형식
의전하다 날 샌다
‘보여주기’에 대한 집착
김앤장이 그들을 쓸어가는 이유
세월에 의한 기득권
“나이 드니 나도 좋은 걸!”
권위주의에의 중독, 달콤하지만 아슬아슬한
사실은 권위 따위 다 집어던지고
70대 자동차 영업사원
모든 의심을 공론화하라
장유유서는 권위주의에 유죄인가?
정-반-합에 이르기 위하여
나는 싸가지 없는 니들이 좋다

Part 2. 장미는 백합을 부러워하지 않는다
경쟁의 나라, 대한민국
캥거루가 사는 거나, 사람이 사는 거나
프로젝트 인생
카이스트 학생들의 죽음
‘원 스탠다드’를 강요하는 사회
지금 알고 있는 걸 그때도 알았더라면
“다들 꿈을 버리고 오는 거죠.”
10대들의 로우킥|패자부활전이 없다
승자 vs. 패자
서울대 대학원의 추억
승패 가르기와 서열 매기기가 너무 당연한 나라
승자들의 두려움
사촌이 논을 사면 배가 아프다
문제는 그가 너무 잘났다는 것|비교와 경쟁, 우리 사회의 집단 병리
옷 잘 입기도 경쟁?
일상을 감시당하다
괴로워도 결과는 좋다?
죽도록 노력하는데 왜 행복하지 않을까?
‘분류’작업
줄 안 세워주면 뽑지도 못하나?
서울대 해체가 어려운 이유
급진적 ‘다양주의’를 권유함
분배 정책만으로 충분하지 않다
삶의 가치를 스스로 결정하는 개인
목수가 된 변호사

Part 3. 일상을 지옥으로 만드는 ‘우리’
‘우리’ 의식의 함정
‘우리’라는 말을 유독 좋아하는 우리
“우리가 남이가?” vs. “우리가 남이여?”
‘우리’속에서‘나’를 잃어버리다
한국에서 가장 강력한 존재, 엄마
나는 왜 기자가 되었을까?
‘엄마’의 무게
딸의 눈을 멀게 한 아비
‘나’라는 개인이 아닌 가족 구성원으로서의 삶
나는 더 이상 자랑스러운 딸이고 싶지 않다
우리는 마피아 조직
‘고대 마피아’ 따라 하기
독립하면 배신자?
“실력 있다고 성공하나? 네워크가 좋아야지.”
내 편이 아니면 적
종교의 공존?
모든 곳에서 벌어지는 배타적 ‘편’ 가르기
나는 의심하고 싶다
도덕만 있고 철학이 없다
도덕 과목의 역설
정의란 무엇인가
정해진 답이 있다는 게 가장 치명적인 결함이다
도덕 교육만 있고 철학 교육은 없다
왜 ‘내 의견’이 없나?
정치인에게도 영혼이 없다
한국에서 매버릭이 성공하지 못하는 이유
“자기 의견이 없는데 토크쇼가 되겠어요?”
예의와 거짓말
‘나의 견해’를 정리하고 말하는 법
고전독서회
“나는 직접 자로 5센티미터를 쟀다니까!”
자유 민주사회 시민 교육
문화로 완성되는 민주주의
안풍의 실체 : ‘윽박’ 우파 vs. ‘깃발’ 좌파
그저 남의 일일 뿐
그냥 위선적으로 놔두면 된다고?
SNS의 게릴라전도 좋지만 정규전이 필요하다

Part 4. 변화를 가로막는 구시대의 괴물들
왕권에 대한 환상
박정희에 대한 향수
이명박 대통령도 따라 해봤다
유통기한 지난 군사부일체
민주주의는 원래 시끄럽다
청와대의 한 방
데모하면 사회 불안정?
큰 정부? 작은 정부?
국가와 시민의 관계
나는 세대 투표를 지지한다
적과의 동침
이명박과 박근혜, 그리고 오바마와 클린턴
타협, 정치의 본질
변화를 외치려면 스스로 변해야 한다
설득하지 못하는 정치세력, 진보
가르치려 하지 말고 공감을 얻어라
왜 그들은 아군의 눈치만 보나?
이데올로기를 넘어
거지에게 동전을 주면 안 된다고?
대중의 힘을 믿어라
진보, 이데올로기를 뛰어넘어라
우리는 왜 부자를 미워할까?
그들은 부자를 미워하지 않는다
미국과 쿠바의 공통점
열정
코리아의 힘
절대선이라 믿어온 한국인의 민족주의
“나 암에 걸렸어….”|한국인 신부, 베트남 신부
통치 이데올로기로서의 민족주의
멜팅 팟 vs. 모자이크
따돌림 받던 그 아이의 선행
사대교린의 역사와 우스꽝스러운 순혈주의
도드라지지 말고 녹아들라고 강요하는 사회
대의를 위해 몇 사람의 목숨쯤은 희생시킬 수 있다?
파키스탄에서 온 이메일

Part 5. 나는 그저 나일 뿐, 그거면 충분하다
위선의 성性
끝없는 사랑
아무도 말해주지 않았다
알면서도 모르는 척, 하면서도 안 하는 척
유서 깊은 위선의 전통
왜 섹스조차 이렇게 불평등하고 불합리한가?
‘쇄골주’의 풍경
10대의 자생적 성 학습
무지가 낳는 일탈
성인 남자에게만 유난히 관대한 ‘아랫도리’ 문제
위선이 위선을, 왜곡이 왜곡을 낳는다
까놓고 논하자
열여섯 살 춘향과 몽룡의 첫날밤
열한 살 아이에게도 콘돔을?
현실에 맞는 성 가치관이 필요하다
참을 수 없는 결혼의 가벼움
가족이 애인을 반대해서
부부는 무엇으로 사는가?
사랑하는 두 사람의 결합
살아보지도 않고 결혼하는 게 더 무모하다
“너나 잘하세요.”
축복받는 아이와 버려지는 아이
“아이를 낳고 싶어.”
축복받지 못하는 20만의 생명
혼외 출산을 축복하라
그저 각자의 삶의 형태일 뿐
새로운 세상을 위한 커밍아웃
매춘은 OK? 동성애는 NO?
내 주변에는 왜 동성애자가 한 명도 없나?
당신들의 커밍아웃을 지지합니다

Epilogue - 나는 ‘다른’ 대한민국을 꿈꾼다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한국의 미래전략  : 고전과 과학기술에 묻다  = Future strategy of Korea : questioning classic and science technology 한국의 미래전략 : 고전과 과학기술에 묻다 = Future strategy of Korea : questioning classic and science technology 2013 / 박성준 지음 / 신서원
한국의 미래전략  : 고전과 과학기술에 묻다  = Future strategy of Korea : questioning classic and science technology 한국의 미래전략 : 고전과 과학기술에 묻다 = Future strategy of Korea : questioning classic and science technology 2013 / 박성준 지음 / 신서원
도리도리 : 박순찬의 장도리 카툰집 도리도리 : 박순찬의 장도리 카툰집 2023 / 지음: 박순찬 / 비아북
세월의 기억 :  장도리의 대한민국 現在史 2013~14 세월의 기억 : 장도리의 대한민국 現在史 2013~14 2014 / 박순찬 지음 / 비아북
세월의 기억 :  장도리의 대한민국 現在史 2013~14 세월의 기억 : 장도리의 대한민국 現在史 2013~14 2014 / 박순찬 지음 / 비아북
516 공화국 : 장도리의 대한민국 생태보고서 516 공화국 : 장도리의 대한민국 생태보고서 2013 / 박순찬 지음 / 비아북
516 공화국 : 장도리의 대한민국 생태보고서 516 공화국 : 장도리의 대한민국 생태보고서 2013 / 박순찬 지음 / 비아북
나는 다른 대한민국에서 살고 싶다 나는 다른 대한민국에서 살고 싶다 2012 / 박에스더 지음 / 쌤앤파커스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한국문화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한국문화 2008 / 박영순 지음 / 현암사
K를 팝니다  : 다 아는데 왜 재밌을까 싶은 대한민국 영어 설명서  : All the Korea you may not see  K를 팝니다 : 다 아는데 왜 재밌을까 싶은 대한민국 영어 설명서 : All the Korea you may not see 2024 / 지음: 박재영 / 난다
포르노는 없다 포르노는 없다 2003 / 박종성 지음 / 인간사랑
눈 떠보니 선진국 눈 떠보니 선진국 2021 / 지음: 박태웅 / 한빛비즈
눈 떠보니 선진국 눈 떠보니 선진국 2021 / 지음: 박태웅 / 한빛비즈
통으로 읽는 한국문화 = Korean Culture for Curious New Comers : 외국인과 다문화 가족을 위한 한국입문서 통으로 읽는 한국문화 = Korean Culture for Curious New Comers : 외국인과 다문화 가족을 위한 한국입문서 2009 / 박한나 지음 / 박이정출판사
통으로 읽는 한국문화 = Korean Culture for Curious New Comers : 외국인과 다문화 가족을 위한 한국입문서 통으로 읽는 한국문화 = Korean Culture for Curious New Comers : 외국인과 다문화 가족을 위한 한국입문서 2009 / 박한나 지음 / 박이정출판사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스웨덴의 저녁은 오후 4시에 시작된다 : 일상을 행복으로 만드는 복지이야기  스웨덴의 저녁은 오후 4시에 시작된다 : 일상을 행복으로 만드는 복지이야기 2019 / 지음: 윤승희 / 추수밭
당선, 합격, 계급 : 장강명 르포 : 문학상과 공채는 어떻게 좌절의 시스템이 되었나 당선, 합격, 계급 : 장강명 르포 : 문학상과 공채는 어떻게 좌절의 시스템이 되었나 2018 / 지음: 장강명 / 민음사
야망의 시대  : 새로운 중국의 부, 진실, 믿음 야망의 시대 : 새로운 중국의 부, 진실, 믿음 2015 / 에번 오스노스 지음 , 고기탁 옮김 / 열린책들
(한국인만 모르는)다른 대한민국  : 하버드대 박사가 본 한국의 가능성 (한국인만 모르는)다른 대한민국 : 하버드대 박사가 본 한국의 가능성 2015 /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지음 / 북이십일 21세기북스
기적을 이룬 나라 기쁨을 잃은 나라 기적을 이룬 나라 기쁨을 잃은 나라 2020 / 지음: 다니엘 튜더; 옮김: 노정태 / 문학동네
우리도 행복할 수 있을까 : 행복지수1위 덴마크에서 새로운 길을 찾다 우리도 행복할 수 있을까 : 행복지수1위 덴마크에서 새로운 길을 찾다 2015 / 오연호 지음 / 오마이북
386 세대유감 : 386세대에게 헬조선의 미필적고의를 묻다 386 세대유감 : 386세대에게 헬조선의 미필적고의를 묻다 2019 / 지음: 김정훈, 심나리, 김항기 ; 해제: 우석훈 / 웅진지식하우스
중국인은 누구인가 : 더 알아야 할 중국·중국인이야기 중국인은 누구인가 : 더 알아야 할 중국·중국인이야기 2015 / 강성현 지음 / 은행나무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덴마크 사람들 : 그들과 함께 살아본 일 년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덴마크 사람들 : 그들과 함께 살아본 일 년 2016 / 헬렌 러셀 지음 ; 백종인 옮김 / 마로니에북스
핀란드가 말하는 핀란드 경쟁력 100 핀란드가 말하는 핀란드 경쟁력 100 2010 / 일까 따이팔레 엮음 ; 조정주 옮김 / 비아북
영국 외교관, 평양에서 보낸 900일 영국 외교관, 평양에서 보낸 900일 2014 / 존 에버라드 지음 ; 이재만 옮김 / 책과함께
굿바이 일본 : 일본에 대한 편견이 아닌 편견 같은 진실 굿바이 일본 : 일본에 대한 편견이 아닌 편견 같은 진실 2019 / 지음: 김교수 / 그린하우스
친일과 망각 친일과 망각 2016 / 김용진, 박중석, 심인보 지음 / 다람
이제는 유럽이다 : 이제 우리는 유럽의 과거 현재, 성공과 실패를 배워 함께 미래로 나아가야 한다. 이제는 유럽이다 : 이제 우리는 유럽의 과거 현재, 성공과 실패를 배워 함께 미래로 나아가야 한다. 2006 / 이준필립 지음 / 교보문고
내릴 수 없는 배 : 세월호로 드러난 부끄러운 대한민국을 말하다 내릴 수 없는 배 : 세월호로 드러난 부끄러운 대한민국을 말하다 2014 / 우석훈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0
40대0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0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