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학기 분량으로 학부 학생들이 의용생체전자공학 분야에 지식을 흡수할 수 있는 입문서. 총 13장으로 구성되어있어 학부 2,3,4학년 학생들이 한 학기 강의로 알맞은 분량으로 엮었으며 어렵지 않게 의용생체전자공학에 심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목차
제 1 장 의용생체전자공학의 발전과 그 의의 1.1 의용생체전자 공학의 위치 1.2 의용생체전자 공학의 태동 1.3 의용생체전자 공학의 도약기 1.4 의용생체전자 공학의 개화기 1.5 의용생체전자 공학 학술 영역 1.6 의용생체전자공학자의 역할
제 2 장 인체 기초 해부학 2.1 인체의 구성 2.2 세포 2.3 골격계 2.4 심·혈관계 2.5 신경계와 뇌
제 3 장 인체 기초 해부학 3.1 트랜스듀서와 센서 3.2 생체 전위의 측정 3.3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힘과 압력의 측정 3.4 마이크로폰을 이용한 심음의 측정 3.5 온도 센서를 이용한 체온의 측정 3.6 광센서를 이용한 혈류량과 산소포화도의 측정 3.7 화학센서를 이용한 pH 측정 3.8 바이오센서
제 4 장 생체신호 발생 근원 4.1 생체신호 발생의 원리 4.2 심장의 구조와 심전도 4.3 뇌전도 4.4 근전도 4.5 기타 생체 전기 신호
제 5 장 생체전위 증폭기의 설계 5.1 생체신호 증폭기의 요건 5.2 생체신호 증폭기의 종류 및 특징 5.3 생체신호 증폭기의 고려사항
제 6 장 심전계 및 혈압과 심음 6.1 심전계 6.2 음향 증폭기를 이용한 심음의 측정 6.3 혈압 6.4 부정맥
제 7 장 뇌전도와 응용 7.1 인체와 뇌파 신호 7.2 뇌전도 신호의 특징 7.3 뇌전도 신호의 측정
제 8 장 근전도와 응용 8.1 근육 8.2 근육의 운동과 근전도 8.3 근전도 신호의 측정과 표면 근전도 8.4 임상적 진단을 위한 근전도 검사
제 9 장 의료용 초음파 9.1 초음파 9.2 의료용 초음파
제 10 장 의료용 광학영상과 레이저 영상 10.1 광학 기기와 레이저 10.2 내시경 영상 10.3 적외선 영상 10.4 레이저 영상
제 11 장 방사선 영상과 핵의학 영상 11.1 X-선과 핵의학 영상 11.2 방사선 영상 진단기 11.3 자기공명영상촬영 11.4 핵의학 영상 진단기
제 12 장 의료정보시스템 12.1 의료정보 12.2 의료정보 시스템 12.3 IT융복합 첨단 의료
제 13 장 의료기기와 안전 13.1 전기쇼크의 레벨 13.2 감전의 생리적 조건 13.3 전기쇼크의 종류 13.4 전류제한기, 누전차단기 및 비접지 고립 전원 13.5 전기적 안전규격 13.6 방사선 위해 안전 및 초음파 안전
색인
서가브라우징
오늘은 인공장기 : [청소년] 2023 / 지음: 김지현 / 다른
혁신기술과 차세대의료 2021 / 지은이: 대한의학회 / 박영사
바이오ㆍ의ㆍ광학2008 / 범희승, 이종일 편저 / 전남대학교출판부
의료기술사업화 2021 / 지음: Kevin E. Behrns, Bruce Gingles, Michael G. Sarr ; 옮김: 이문재 / 라임하우스
MSP430을 활용한 신호 획득 및 처리 : 심전도 응용을 중심으로2012 / 이종실 ; 김인영 ; 김범룡 ; 김선일 지음 / I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