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2권에서는 고멸성제와 고멸도성제에 대해 집중적으로 알아본다. 고멸성제에서는 열반의 의미와 유형, 열반에 이른 성인의 경지에 대해 설명하며, 고멸도성제에서는 팔정도를 통해 열반에 이르는 길을 상세히 일러주고 있다.
목차
들어가기 전에
제7부 괴로움의 소멸에 대한 고귀한 진리, 고멸성제
1. 올바른 지혜로 인한 괴로움의 소멸
괴로움이 발생한 자리, 괴로움이 소멸하는 자리
지혜로 갈애를 끊어
2. 괴로움의 소멸로 열반에 이르다
열반, 5가지 무더기의 소멸
유여의열반과 무여의열반
3. 열반에 이른 성인의 경지
거센 바람에도 흔들리지 않는 반석처럼
열반, 최상의 행복이자 지극한 평온
열반의 즐거움은 차원이 다르다
먹어본 사람만이 망고 맛을 안다
열반으로 가는 뗏목이 하나만은 아니다
열반은 현실과 괴리된 것이 아니다
제8부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에 대한 고귀한 진리, 고멸도성제
1. 극단적인 길을 떠나 중도로
쾌락주의도 고행주의도 고통스럽긴 마찬가지
팔정도만이 참 길
스스로 검증해야 하는 길
여덟 갈래의 성스러운 길
2. 바른 이해
악이란 무엇이고 선이란 무엇인가
5가지 무더기에 대한 이해
존재의 3가지 특성에 대한 이해
무상, 고, 무아로 5가지 무더기를 바로 보아
아무 도움이 안 되는 질문들
성냄의 화살 바로 보기
탐욕의 화살 바로 보기
어리석음의 화살 바로 보기
탐진치, 업과 윤회의 원인
탐진치의 소멸은 곧 윤회의 소멸
욕계에 묶어두는 5가지 족쇄
색계와 무색계에 묶어두는 5가지 족쇄
이치에 맞지 않는 사유로부터 바르지 못한 견해가 생겨나
수타원, 흐름에 들어선 자
사다함, 한 번 되돌아오는 자
아나함, 되돌아오지 않는 자
아라한, 완전한 성인
위대한 복전, 네 부류의 성자
자아에 대한 잘못된 견해
몸과 마음이 나인가?
느낌이 나인가?
자아에 대한 바른 견해
일상을 살아가는 나도 없는가?
지금 이 책을 읽는 당신도 없다
연기를 보는 자 여래를 본다
괴로움의 발생에 대한 연기
괴로움의 소멸에 대한 연기
연기법과 사성제의 관계
보통 사람의 바른 이해와 성자의 바른 이해
바른 이해와 다른 덕목들의 관계
바른 이해를 통해 진정한 자유로
자유는 스스로 만드는 것
3. 바른 사유
자애로운 마음과 연민의 마음
보통 사람의 바른 사유와 성자의 바른 사유
바른 사유와 다른 덕목들의 관계
4. 바른 언어
진실을 말한다
이간질하지 않는다
거친 말을 삼간다
쓸모없는 말을 하지 않는다
보통 사람의 바른 언어와 성자의 바른 언어
바른 언어와 다른 덕목들의 관계
5. 바른 행위
생명을 죽이지 않는다
주지 않은 것을 취하지 않는다
잘못된 성행위를 하지 않는다
보통 사람의 바른 행위와 성자의 바른 행위
바른 행위와 다른 덕목들의 관계
6. 바른 생계
보통 사람의 바른 생계와 성자의 바른 생계
바른 생계와 다른 덕목들의 관계
7. 바른 노력
막으려는 노력
끊어내려는 노력
계발하려는 노력
유지하려는 노력
8. 바른 마음챙김
지혜와 선정에 이르는 유일한 길
몸에 대한 마음챙김
느낌에 대한 마음챙김
마음에 대한 마음챙김
법에 대한 마음챙김
마음챙김, 열반의 보증수표
9. 바른 마음집중
마음집중의 대상과 조건
지혜 수행과 선정 수행은 불가분의 관계
첫 번째 선정
두 번째 선정
세 번째 선정
네 번째 선정
마음집중 수행의 주제
선정을 통한 지혜의 완성
10. 팔정도를 닦는 방법
바른 사유
바른 행위
바른 언어
바른 생계
바른 노력
바른 마음챙김
바른 마음집중
바른 이해
11. 흔들리지 않는 마음의 자유를 위해
주석
찾아보기
나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