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제1부 북한 지하자원 개관(槪觀)
북한, 미개척 지하자원의 보고
북한에는 왜 지하자원이 풍부한가
자원개발특구 지정 등 사업의 장기적인 로드맵이 필요
심상치 않은 북ㆍ중 밀착, 북한 자원개발사업 진출이 시급
북한 지하자원 개발사업 투자의 4가지 선결과제
북한 현지 광산조사의 어려움과 시사점
남북 경협, 지하자원 개발사업이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북한 지하자원 개발에는 인프라 구축이 반드시 연계되어야
북한의 최근 지하자원 수출현황과 전망
제2부 북한 지하자원 투자경험
들어가며
북한 지하자원을 찾아서
처음 만난 그들
황해남도, 청단광산의 풍경
다시 강원도 압동 광산으로
새로운 사업의 시작
5월의 황해남도, 정촌광산으로 가는 길
현지실사 그리고 해주여관에서의 추억
협상개시, 긴 여정의 시작
계약체결? 뜻하지 않은 암초
북한의 결단, 원칙을 지킨 협상의 성과
만수대 김일성 동상 참배 문제
조개구이
광산 건설 착공식, 첫 발파의 기억
선광장 건설완료 그리고 준공식 준비
광산 건설 현장의 어려움
심각한 북한 인프라 현황, 미완의 성공
다시 시작된 북한 지하자원 개발사업
지난 경험과 준비과정
잊을 수 없는 백금산의 첫 모습
현지조사 완료 그리고 고립된 일주일
외로웠던 조사일정 협의
또 한 번의 현지조사
2007년의 크리스마스, 광산을 떠나며
제3부 북한의 주요한 지하자원
금(Gold)
동(Copper)
아연(Zinc)
철(Iron)
석탄(Coal)
우라늄(Uranium)
몰리브덴(Molybdenum)
중석(Tungsten)
탄탈륨(Tantalum)
희토류(Rare earth oxide)
마그네사이트(Magnesite)
인회석(Apatite)
■ 북한 금속ㆍ비금속 광산 분포도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