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지구적 환경 위기에 대한 근본적 성찰이자 급진적 이념으로서의 생태주의의 개념과 역사를 다룬다. 저자는 다양한 생태론 가운데서 현대 공업 사회가 자연을 이용하는 방식에 문제를 제기하고 이것을 극복하려는 이데올로기들을 ‘생태주의’로 묶고, 그것이 ‘현대성’에 대응하는 방식에 따라 다시 ‘낭만적 생태주의’와 ‘합리주의적 생태주의’로 나누어 각 입장의 핵심 주장을 살펴본다.
목차
1장|왜 생태주의인가
1. 지구적 환경 문제
2. 환경 문제의 정치화
3. 현대성과 생태주의
4. 생태주의 갈피 잡기
2장|생태주의의 이론적 쟁점들
1. 생태주의와 이웃 개념들
생태학과 생태주의
생태주의와 환경주의
2. 생태주의의 이론적 쟁점들
자연의 한계
시간과 공간에 대한 재해석
자연에서의 인간의 지위
역사 발전의 주체
민족 국가는 생태적일 수 있는가
3. 생태주의의 등장 배경
중세의 우주론
자본주의와 과학 혁명, 그리고 자연의 지배
생태주의의 검토 방식
* 깊이 읽기|육식에 대하여
3장|낭만적 생태주의
1. 근본 생태주의
확장된 자아의 자기실현
단순하고 풍요로운 삶, 그리고 계획된 사회
극단적인 인간 혐오
2. 생태 파시즘
구명선 윤리와 공유지의 비극
3. 생태 공동체주의
만물은 서로를 돕는다
생태적 영성과 생태 신학
생물 지역주의 운동
4. 성찰적 현대화론
위험 사회의 존재론적 불안
성찰적 현대화와 과학 기술 비판
5. 문화적 생태 여성주의
생태 여성주의의 유래와 갈래
여성과 자연의 연관성
직접 행동
* 깊이 읽기|생태 파시즘의 이상, 에코토피아
4장|합리주의적 생태주의
1. 시장 생태주의
지속 가능한 발전론
생태적 현대화론
보수적인 성향
저탄소 녹색 성장론
2. 사회 생태주의
어떤 지배도 없는 자유로운 공동체
직저 민주주의와 도덕 경제
3. 정치 생태주의
성장 제일주의와 낭비적 소비에 의한 생태 위기
노동의 해방과 사회적 수당
생태적 발전론과 자유 시간의 증대
4. 생태 사회주의
생태주의와 마르크스주의
자본 축적, 노동 과정, 그리고 생태 위기
자연과 사회의 물질대사와 지속 가능한 인간 개발
'자본주의적 시간/공간' 조직 방식과 생태 위기
연대의 경제와 지속 가능성
5. 사회적 생태 여성주의
자연과 여성을 억압하는 위계적 구조 비판
자연과 여성이 해방된 사회
* 깊이 읽기|칩코 운동
5장|생태주의 비판, 그리고 몇 가지 질문들
1. 복잡한 세계와 위험의 증가, 그리고 생태주의
기후 변화의 위협
사전 예방의 원칙
2. 생태적 사회로의 전환
통찰의 진화와 생태적 사회
초국가적 어소시에이셔니스트 운동
* 깊이 읽기|문명의 붕괴
맺는말─생태 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통찰력과 상상력
도움받은 자료들
개념의 연표─생태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