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조선사회연구회 창립 2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그 동안 회원들의 연구를 바탕으로 조선시대를 바라보는 관점을 한데 모은 책. 정치.경제, 사회.문화, 외교.국방, 사상.교육 등 네 분야로 나누어 회원 각자가 그동안 연구해 온 주제들을 일반인이 읽기 좋게 풀어서 서술하였다.
목차
서문 / 이성무
1부 정치와 경제
사대부란 무엇인가 / 이성무
당쟁의 어제와 오늘 / 이성무
조선의 왕실 / 신명호
조선 왕실 친인척 관리 / 원창애
양반과 토지, 그리고 세금 / 김재명
조선 초기 외관과 외방사신 / 임선민
대한제국, 전통과 현대의 연결고리 / 이민원
2부 사회와 문화
조선시대 신분구성과 그 특성 / 이성무
의사, 중인으로 살아가기 / 이남희
유학(幼學)-조선 후기 신분변동을 읽는 코드? / 송양섭
신사임당은 현모양처인가? / 이순구
영조의 왕통 계승의식 / 임민혁
국왕의 왕릉 가는 길, 능행 / 이왕무
왕실 혼례 / 이미선
조선시대의 양반문화 / 이성무
조선시대 선비는 누구인가 / 최봉영
사대부의 의례와 제사 / 김문택
한국의 족보─조선시대 사대부 족보를 중심으로 / 김학수
조선조의 법 문화와 법전 편찬 / 이종길
자연재해와 민중운동 / 장영민
3부 외교와 국방
전쟁과 평화의 외교─조선 후기 한·중 외교의 성격 / 이영춘
한말 의병의 이념과 항쟁 / 김상기
조선과 유구 왕국 500년 / 양수지
무신으로 살아가기 / 정해은
4부 사상과 교육
정치 이데올로기, 주자학 / 권오영
유학자들의 불교 이해 / 김봉곤
서양 문화의 전래와 지식인의 고뇌 / 차기진
조선 후기 서양과학 전래와 천문 인식의 전환 / 정성희
공교육과 사교육, 그리고 대안교육 / 박연호
사회적 성공의 사다리, 과거 급제 / 최진옥
조선시대 세자교육 / 이기순
외국어 교재와 역관 / 이상규
후기 / 최봉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