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지진학의 기초 : 지진의 발생과 관측방법
1. 지진이란 무엇인가?
2. 지진파의 종류
3. 진앙거리(진앙에서 관측소 사이거리)의 결정
4. 지진의 단위
5. 지진기록과 위상(phase)의 식별
5.1 천발근접 국지지진(Local Earthquakes)
5.2 원격지진(Teleseismic Earthquakes)
5.3 지진에 의한 표면파
제2장 단층의 위험성과 단층작용
1. 단층의 종류
2. 활동성 단층(Active Fault)과 지진 가능 단층(Capable Fault)
3. 원자력 발전소부지 타당성 조사에서 지진 가능 단층
4. 지지진 가능성 단층 조사의 단계(10 CFR)
5. 고지진(Paleoseismology)과 단층
제3장 판구조론의 진화
1. 판구조론의 역사
2. 지진활동과 판구조론
제4장 지진의 상호작용
1. 무엇이 지진파를 만드는가?
2. 지진메커니즘
3. 지진기록지의 P파로부터 단층 방향을 결정하는 방법
4. 지반의 지진 피해
제5장 지진동 분석과 지진 위험도
1. 지진계획의 개선책
2. 주요한 공학구조물과 지진 위험
3. 한반도의 최대 지반가속도
4. 지진동의 감쇠
5. 지진 위험 지도
6. 서울지역의 지질도와 지진 위험 가능성
제6장 지진피해대책 : 조기경보 및 내진설계
1. 지진 조기경보체계의 기본 철학
2. 통합관측망 운영
3. 현장(On-site) 지진 조기경보시스템 구축
4. 대관령 지진관측소 자료분석
5. 세계의 지진 조기경보 운영 예
6. 내진설계 스펙트럼 방안
7. 원자력 발전소와 내진규정
7.1 원자력 발전소의 내진규정
7.2 국내의 원자력 발전소의 내진규정
제7장 지진 발생의 도표 및 피해현황
1. 한반도의 지진 자료와 분석
2. 한반도에서 지진 현황
2.1 역사지진(Historical Earthquakes)
2.2 계기지진(Instrumental Earthquakes)
3. 세계의 지진 피해현황과 국내의 지진 피해
제8장 지진 예보는 가능한가?
1. 지진 예보에 관한 노력
2. 임박한 지진을 알아내기 위한 단서
3. 중국에서의 지진과 예보
4. 지진 예보는 가능한가?
5. 동물행동과 자연의 이상현상에 의한 지진 전조징후
제9장 발생 전, 발생 당시, 발생 후 취해야 할 조처
1. 지진 위험의 형태
2. 지진에서 보호
제10장 지구의 구조
1. 지구의 구조와 불연속
2. 지구의 내부 구조
3. 지진원 및 화산탐사에 지진토모그래피(Seismic Tomography) 이용
제11장 츠나미의 원인과 예방대책
1. 츠나미(tsunami)의 예방대책
2. 진파(津波, 지진해일)
3. 지진해일(Tsunami)의 예보 가능성
제12장 지진학의 응용 : 인공폭발과 핵실험
1. 핵실험의 역사
2. 핵실험 탐지
3. 국지(Local) 및 광역(Regional) 인공폭발의 구별
4. 이상지진(異常地震)
5. 지하 핵실험의 방출 에너지
6. 북한의 1차 핵실험
7. 북한의 2차 핵실험
제13장 지진학의 응용 : 수중폭발과 천안함 침몰원인
1. 천안함 침몰과 매스미디어
2. 공중음파 관측망 분석
3. 지하 인공폭발과 수중폭발의 특성
4. 수중폭발의 스펙트럼 분석
5. 수중폭발의 물리 패러미터 산출 및 논의
6. 천안함 침몰 추정 어뢰의 열처리와 논쟁
◆ 찾아보기
◆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