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학기술과 정책 : 글로벌 시대 공학 리더를 위한 정책 이론 입문
발행연도 - 2011 / 이정동 지음 / 지호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260161
-
ISBN
9788959090556
-
형태
245p. 23cm
-
한국십진분류
기술과학
>
공학, 공업일반, 토목공학, 환경공학
>
-
카테고리분류
과학/기술
>
과학의 이해
>
과학 일반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기술은 진공 속에서 홀로 존재하고 독자적인 논리에 따라 변화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맥락 안에 존재한다. 기술이 발전하고 활용되는 모든 과정은 복잡한 사회적 관계망 속에서 일어나며, 기술혁신이란 연구자 혹은 하나의 기업이 혼자서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속의 여러 주체들이 상호 영향을 주고받는 가운데 일어난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머리말
1. 서론
2. 기술혁신과 경제발전
2-1. 경제성장의 원인분해: 생산성 향상의 의미
2-2. 생산성향상과 기술혁신
2-3. 기술혁신을 위한 정책의 역할
3. 기술, 기술혁신의 특성
3-1. 기술의 특성
3-2. 시장구조와 혁신투자의 유인
3-3. 기술혁신 모형
4. 기술혁신시스템
4-1. 혁신시스템적 사고의 역사적 전개
4-2. 혁신시스템적 사고의 키워드
4-3. 혁신시스템의 구성
4-4. 혁신시스템의 종류
4-5. 혁신시스템이론의 정책적 시사점
4-6. 혁신시스템 이론의 한계와 과제
5. 기술정책의 근거
5-1. 균형론적 접근
5-2. 시스템적 접근
6. 과학정책, 산업(기술)정책, 혁신정책의 관계
6-1. 과학정책
6-2. 산업기술정책
6-3. 산업정책
6-4. 혁신정책
7. 주요국의 기술정책
7-1. 미국
7-2. 유럽
7-3. 일본
7-4. 한국
8. 기술정책의 종류
8-1. 기술정책 분류의 기존사례
8-2. 분류기준
8-3. 사례
9. 기술정책의 최신 이슈
9-1. 글로벌화의 진전과 기술정책
9-2. 기업가 정신과 산업동학의 이해
9-3. 기술혁신과 고용
9-4. 추격과 탈추격
9-5. 기술정책의 평가
9-6. 기술정책과 경제정책과의 연계 확대
9-7.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기술의 기여
10. 맺음말
참고문헌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2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1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