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도서는 최근 ‘사회적기업육성법’ 통과로 인해 새로운 대안노동으로 여겨지고 있는 ‘사회적기업’에서 여성들의 노동 현실은 어떠하며, 그 현실에 대한 문제점 제시와 해결책에 대한 고찰이 담겨져 있다. 지은이는 실제 사회적기업인 두 단체에서 노동자들을 만나 직접 그들의 일을 체험하고, 직접 이야기를 듣는 등의 실제 체험을 통해 사회적기업 내 여성노동 현실을 파악하고 있다.
목차
머리말
1부 제1장 사회적기업, 여성에게 기회인가? 제2장 사회적기업 들여다보기 1. 사회적일자리와 ‘여성’ 2. ‘사회적기업’에 대한 재디자인 3. 사회적기업 논의 방향 제3장 대안적 일자리를 찾아서
2부 제4장 안에서 본 사회적기업 1. 〈소망 도시락〉: 자립지향형 사회적기업 1) 〈소망 도시락〉 사례의 특징 (1) 조직과 구성원의 성격 (2) 근로 조건 (3) 노동 과정 및 노동 강도 2) 재정 자립을 위한 이윤추구 강조 3) 주입식, 형식적인 교육 내용 4) ‘집단’ 위주의 조직 운영 5) 소통의 단절 6) 파편화되는 노동자 2. 〈한마음 가사〉: 공동체지향형 사회적기업 1) 〈한마음 가사〉 사례의 특징 (1) 조직과 구성원의 성격 (2) 근로 조건 (3) 노동 과정 및 노동 강도 2) 여성주의에 기반한 공동체 가치 추구 3) 지속적, 필요에 의한 교육 내용 (1) 신입직무교육 (2) 전문성 강화를 위한 보수교육 4) 노동자 위주의 조직 운영 5) 원활한 의사소통 6) 모임의 활성화 7) ‘노동자-조직’ 간의 이해관계 일치 제5장 노동자 인식과 결과적 차이
3부 제6장 사회적기업이 ‘대안적 일자리’가 되기 위해서는? 1. ‘나-조직’이 함께 가는 목표 2. 모임을 통한 소속감/경험 공유 3. 대안적 가치, 나눔과 순환 활동 4. ‘여성노동의 재평가’에서 출발 5. 목표의식, 긍지를 심어주는 교육 6. ‘신뢰’와 ‘인격’과 ‘배려’ 7. 대화와 소통으로 고충 처리 8. 노동자가 참여하는 조직 운영 9. 수평관계와 지도력의 재생산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입사자격 60세 이상2005 / 히라노 시게오 지음 ; 정정일 옮김 / 산들바람
한국 근현대 여성노동 : 변화와 정체성2011 / 강이수 지음 / 문화과학사
그녀는 어떻게 다시 일하게 되었을까 : 경력단절을 뛰어넘은 여성 34인의 어떤 도전2016 / 지음: 김규정 / 조선앤북
그녀는 어떻게 다시 일하게 되었을까 : 경력단절을 뛰어넘은 여성 34인의 어떤 도전2016 / 지음: 김규정 / 조선앤북
나를 믿는 지금부터가 진짜 시작입니다 : 경력단절 여성 재취업 프로젝트2019 / 지음: 김미진 / 렛츠book(렛츠북)
나를 믿는 지금부터가 진짜 시작입니다 : 경력단절 여성 재취업 프로젝트2019 / 지음: 김미진 / 렛츠book(렛츠북)
주부협정과 파트타임 노동 2020 / 저·역: 김영 / 부산대학교출판문화원
사회적기업과 여성주의 대안노동 = Feminism and work at social enterprise2011 / 김유미 지음 / 푸른사상
일하는 엄마, 육아휴직 일 년 : 실패 없는 출산휴가·육아휴직 활용법2016 / 지음: 남정민 / 라이스메이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