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책머리에
서설: 부산 도시사 연구의 기초적 검토로서 재부일본인 연구
1. 문제의 제기
2. 1906~1914년 부산부 지방제도의 변화
3. 1910년 행정구역 개편과 민단제 폐지를 둘러싼 논란
4. 부제의 실시와 갑인회의 창립
제1부 근대 도시의 형성과 전개
제1장 개항기 부산의 무역과 상업
머리말
1. 통상조약의 체결과 부산항 시장권의 형성
2. 개항기 부산의 무역과 외국 상인의 활동
3. 개항기 부산 상인의 상업활동
맺음말
제2장 근대 도시 부산의 형성과정
머리말
1. 개항 이후 일본거류지의 확장과 시가지 형성
2. 일본거류민의 인구 구성과 도시문화
맺음말
제3장 일제시기 부산지역 일본인사회의 인구와 사회계층구조
머리말
1. 일본인사회의 인구변화 추이
2. 일본인사회의 사회계층구조
맺음말
[보론] 한국 근대 도시사의 연구방법론에 관한 시론
1. 근대 도시란 무엇인가?
2. 자료와 연구방법
3. 자료는 어디에 있는가?
4. 자료의 정리와 현장조사
5. 자료를 어떻게 이용할 것인가?
6. 근대 도시사 연구와 영상 자료의 활용
제2부 지역사회의 정치 담론과 지역개발 문제
제1장 재부산 일본인사회의 지방자치제 실시 논의와 지방제도 개정 추이
머리말
1. 일본거류민단의 해체와 부제의 공포
2. 1920년대 부제하의 자치제 실시 논의와 1920년 지방제도 개정
맺음말
제2장 동래의 도시화 과정과 '주민대회'
머리말
1. 한말ㆍ 일제 초기 동래지역의 사회변화와 정치변동
2. 식민통치하의 근대적 도시 형성과 주민대회
맺음말
제3장 1920년대 도시개발사업과 지역유지층의 정치참여
1. ‘문화정치’하의 지역개발과 지방정치세력의 등장
2. 1920년대 지방선거와 부ㆍ면협의회의 구성
3. 1920년대 지역운동과 지방정치의 두 가지 사례
4. 지역유지층의 지방정치 참여의 한계
[보론] 일제 초기의 면 운영과 '조선면제'의 성립
머리말
1.‘면제’ 실시 이전의 면 운영과 면 행정
2. 1917년 ‘조서면제’ 의 준비과정과 면제 공포 이후의 면 행정
맺음말
제3부 지방선거와 지방권력
제1장 1910~1920년대「부산부협의회」의 구성과 지방정치
머리말
1. 1910년대 부산부협의회의 구성과 성격
2. 1920년대 부산부협의회 협의원 선거와 당선자 분석
3. 1020년대 부산부협의회 협의원의 지지기반과 정치활동
맺음말
제2장 1930년대 부산부회의 의원 선거와 지방 정치세력의 동태
머리말
1. 1930년대 부회의 성격과 의원선거 규정
2. 부산부회 의원 선거와 사회계층적 기반
3. 부회 운영을 둘러싼 정치세력 간의 갈등과 정치형태
맺음말
제3장 1920~1930년대 동래의 지방선거와 조선인 당선자들
머리말
1. 1920~1930년대 동래의 선거권자 현황
2. 1920년대 동래면 면협의외원 선거와 당선자들
3. 1930년대 지방제도의 개편과 동래읍회 의원 서거
맺음말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