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여성과 목회상담 = Women and pastoral care in the Korean context
발행연도 - 2011 / 정희성 지음 /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259208
-
ISBN
9788973009046
-
형태
325p. 23cm
-
한국십진분류
종교
>
기독교
>
전도, 교육, 교화활동, 목회학
-
카테고리분류
종교
>
기독교
>
신학
책소개
한국 여성의 관점에서 쓰여진 최초의 여성목회상담학 연구서. 저자는 이 책을 통해 한국의 가부장적 문화 속에서 주로 남성 중심적 시각으로 파악해 왔던 여성의 우울증과 히스테리, 성폭력 및 이혼 등의 문제를 객관적인 관점에서 다시 해석하고, 성서를 비롯한 신학적 자원을 적극 활용하여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새로운 치유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목차
머리말: 한국 여성 목회상담의 첫걸음을 내딛으며
제1부 여성 목회상담의 이론적 논의
제1장 정신분석학과 여성 종교 경험의 이해
1. 심층심리학과 여성주의 종교 상징
2. 대상관계이론과 신학적 주제들
제2장 여성주의 목회신학의 이해
1. 여성주의 목회신학에서 경험의 문제
2. 여성주의 목회신학에서 기독교적 자원의 문제
제3장 일본군 ‘위안부’의 독특한 하나님 이미지 연구
1. 초기 부모 경험, 성폭력, 그리고 하나님 이미지
2. 군 ‘위안부’ 여성의 하나님 이미지 분석
제2부 성폭력과 여성 목회상담
제4장 교회 여성 성폭력과 진단: 외상후 스트레스장애PTSD를 중심으로
1. 전쟁신경증과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2.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와 성폭력 진단
제5장 성폭력의 목회신학적 이해
1. 교회 여성 성폭력의 목회신학적 논의들
2. 교회 여성 성폭력 경험의 목회신학적 재구성
제6장 성폭력 피해자의 생존과 재활을 위한 성서 읽기
1. 성서 사용의 방법론적 검토
2. 다말 다시 읽기
3. 밧세바 다시 읽기
제3부 여성 목회상담의 임상적 논의
제7장 여성 우울의 심리학적 원인 연구
1. 프로이트와 대상 상실
2. 젠더관점과 자아 상실
3. 목회상담에의 함의
제8장 히스테리의 목회상담
1. 19세기 히스테리 연구
2. 히스테리 연구와 젠더적 비판
3. 히스테리와 중세 여성 신비주의자
4. 히스테리의 목회상담
제9장 한국 여성을 위한 이혼숙려 상담의 모색
1. 한국 여성 이혼의 여성주의적 자원
2. 한국 여성 이혼의 경험적 자원
3. 이혼숙려 상담의 통합적 모색
부록
하늘나라에서 보내는 늙은 다말의 편지
인터뷰: 군 ‘위안부’의 종교 경험Ⅰ
인터뷰: 군 ‘위안부’의 종교 경험Ⅱ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