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불교 여성주의의 관점에서 불교 여성학의 영역 개척을 시도한 책. 우리나라 여성사를 유교 가부장제가 지배했던 ‘여성 잔혹사’라고만 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오늘날 그 어떤 종교보다 많은 여성들이 마음을 의탁하고, 삶의 지혜와 지침을 얻고 있는 불교, 무속 등등 자장 안에서 재조명함으로써, 우리 역사에서 면면한 비가부장제적 전통을 오늘날 기억해 내고 소환함으로써 오늘의 여성 문제의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목차
서설 생명여성주의로 가는 길
1. 생태여성주의의 영성
1. 영성과 마음을 아울러 보기
2. 생태여성주의 출현 배경
3. 생태여성주의의 영성
급진생태여성주의와 영성 이해
사회생태여성주의와 영성 이해
2. 불교에서의 마음
1. 우리는 왜 '마음'을 찾기 시작했을까?
2. 생명 아닌 것이 없는 불이不二의 마음
마음의 세 가지 차원
만물의 생명성과 불성
3. 존재의 공함을 깨쳐 자유자재함
3. 불교, 한국 문화, 여성
1. 한국의 대모신 신화 : 마고 신화
마고 신화
2. 가부장제 역사 속에서의 불교, 도교와 여성
고대 아시아에서 불교, 도가와 여성 : 인도와 중국을 중심으로
한국의 무속 신화와 여성
삼국시대의 토속 도교와 여성
우리 문화 속의 모계적 전통과 양성적 문화
가부장제의 세력화
절멸시킬 수 없는 존재의 소리, 남아 있는 마고의 위력
여성주의 철학 시대의 도래
3. 민의 생명 전통과 불교
전통 생명사상과 융화된 불교
생명사상으로서의 무속 설화
4. 여성의 불성인 살림에 대한 사유
1. 생명 위기의 시대에서 살림의 시대로
2. 살림의 두 얼굴
살리는 성스러운 일
천대받으면서 여전히 궁상맞고 위기에 빠진 살림
1) 천대받은 살림과 살림꾼 여성
2) 궁상맞았던, 여전히 궁상맞은 살림
3) 궁상맞음을 넘어 불임을 고착화하는 개발주의
3. 부활하는 살림
4. 살림의 경계, 살림의 길
생명 감수성을 기르는 교육이 필요하다
가정-지역과 기업, 국가와 세계를 살림 살아야 한다
1) 가정 살림과 분리되지 않는 지역 살림
2) 기업 경영에서 기업 살림, 대안적 지구화로
3) 국가의 관료 통치에서 살림 통치로
5. 불교의 생명 윤리와 재가 여성 불자
1. 떠나지 않은 여자들의 작은 해탈
생활 속에서의 해탈을 꿈꾸며
생태 윤리, 녹색 윤리, 환경 윤리
2. 불교의 생명 윤리로서의 팔정도와 오계
팔정도
오계
3. 여성 불자 삶 속에서의 불교 생명 윤리
팔정도와 여성 불자의 자기 변화
여성 불자의 일상 삶 속에서의 오계
보살행과 그 한계
4. 작은 해탈을 넘어설 수 있을까?
6. 여성이 마음을 회복해 가는 여정에 대한 사유
1. 생활과 분리되지 않는 마음공부
2. 가부장적인 마음의 몽상을 알아차리기
마음의 가부장적 굴절을 질문하기
생명 위기로서의 가부장적 여성성
맹모 상징
피학적 성 : 열녀상과 선정성
3. 가부장제의 여성성에서 벗어나 마음을 회복하기
맹모에서 대모로
피학적 성에서 생명 중심적 성으로
가부장적 여성에서 무위의 여성으로
에필로그
주석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