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가(法家) 사상을 소개하고 법가가 중국사에 끼친 영향을 쉽게 풀어쓴 교양서. 유가나 도가만큼은 알려지지 않은 중국의 고대 학파 ‘법가’가 어떠한 사상을 펼쳤는지 일목요연하게 해설하고, 진(秦)나라 때 잠시 각광받았다가 사라진, 폐기된 사상이 아니라, 진시황 이후 지금까지 줄곧 중국 정치사를 관통하여 기능해 온 핵심적인 철학임을 밝힌다.
목차
옮긴이 서문 중국의 법가를 통해 오늘의 한국을 읽는다 머리말 왜 법가인가
1장 법가의 탄생 법가 사상가들 법가 형성의 사상적 배경
2장 세(勢)ㆍ권력이 가장 중요하다 '세'란 무엇인가? 세의 대상은 국가와 백성 백성의 기능
3장 법(法)ㆍ법은 형벌 도구다 모든 법은 군주로부터 포상과 형벌 법을 독점해야 하는 이유
4장 술(術)ㆍ통치에는 요령이 있다 통치의 기본 감시와 처벌 신비주의와 무위 사상 통제와 우민화 인문주의의 말살 정치조직의 타파 관료 길들이기 전체주의 사회의 통제
5장 법가와 중국활제 법가와 왕정 이데올로기 법가 전통을 따른 제국 법 세뇌와 관학화 전국적 감시망 조직
6장 법가와 현대중국 마오쩌둥의 법가 계승 프롤레타리아 독재와 법가 법가와 공산당의'국민'의식 국가의 경제 통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