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통일 20년, 그들의 삶의 조건은 어떻게 달라졌나? 이를 통해 우리가 독일 사례에서 얻을 수 있는 해법은 무엇인가? <복지국가 스웨덴>이 북유럽 사민주의를 바탕으로 한 복지 정책의 사례를 제공해 관련 논의를 풍부하게 했다면, 이 책은 통일과 사회·경제적 평등을 실현해야 한다는 점에서 한국과 유사한 독일의 사례를 통해, 복지 정책(연금 정책)은 물론 노동정책에 대해 밀도 있는 분석을 제공했다는 점에 주목할 만하다.
목차
1장 서론 1. 문제: 독일통일의 사회적 차원 2. 방법: 해석 투쟁과 현실 구성 그리고 지식 정치학 3. 분석틀: 사회적인 것, 정책 담론, 권력 편제
2장 통일 이전 동?서독 사회정책 1. 통일 이전 서독의 복지국가 2. 통일 이전 동독의 사회정책
3장 통일 독일의 사회정책에 합의하다(1989~90년) 1. 통일 합의 형성 64 2. ‘사회적인 것’의 방향 설정 3. 동·서독 협상과 사회정책 4. 소결: 통일 합의 형성과 사회정책
4장 서독의 사회정책이 동독으로 건너가다(1990~94년) 1. 동쪽으로 간 사회적 시장경제 2. 노동시장 정책 3. 단체협약 정책 4. 연금 정책 5. 소결: 통일 합의 실현과 사회정책
5장 사회정책이 산업입지 담론에 휩싸이다(1994~99년) 1. 경쟁력 담론과 ‘사회적인 것’ 2. 노동시장 정책 3. 단체협약 정책 4. 연금 정책: 연금 개혁 1999 5. 소결: 산업입지론과 사회정책
6장 사회·경제체제 혁신 담론이 사회정책을 바꾸다(1999~2005년) 1. 사회·경제체제 혁신론과 ‘사회적인 것’ 2. 노동시장 정책 3. 단체협약 정책 4. 연금 정책 5. 소결: 사회·경제체제 혁신론과 사회정책
7장 사회정책이 조정 국면을 맞이하다(2005~09년) 1. 사회성 와해에 대한 성찰 담론의 등장 2. 노동시장 정책 3. 단체협약 정책 4. 연금 정책: 67세 연금 5. 사회·경제체제 혁신 조정론과 사회정책
8장 통일 이후 사회정책과 복지국가, 이렇게 바뀌었다 1. 통일 이후 사회정책의 변화 2. 통일 이후 복지국가의 변화 I: 보수주의와 자유주의의 병존 3. 통일 이후 복지국가의 변화 II: 복지국가의 지역적 분단
9장 결론: 무엇을 생각하고 어떻게 옮길 것인가? 1. 독일이 선례가 될 수 있을까? 2. 한국 사회정책의 풍경화
부표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사회보장론 = Social security 2020 / 지음: 이성기, 원석조 / 공동체
더 나은 삶을 상상하라 : 자유시장과 복지국가 사이에서2011 / 토니 주트 지음 ; 김일년 옮김 / 플래닛
더 나은 삶을 상상하라 : 자유시장과 복지국가 사이에서2011 / 토니 주트 지음 ; 김일년 옮김 / 플래닛
복지국가를 향한 짧은 안내서 : 국제적 관점으로 쉽게 쓴 사회정책입문2010 / 존 허드슨 ; 스테판 쿠너 ; 스튜어트 로우 지음 ; 김보영 옮김 / 나눔의 집
복지국가를 향한 짧은 안내서 : 국제적 관점으로 쉽게 쓴 사회정책입문2010 / 존 허드슨 ; 스테판 쿠너 ; 스튜어트 로우 지음 ; 김보영 옮김 / 나눔의 집
복지의 문법 2022 / 지음: 김용익 , 이창곤 , 김태일 / 한겨레
복지의 문법 2022 / 지음: 김용익 , 이창곤 , 김태일 / 한겨레
통일 독일의 사회정책과 복지국가 : 통일 20년, 독일인 살림살이 들여다보기2011 / 황규성 지음 / 후마니타스
오브 아프리카2017 / 지음: 월레 소잉카 ; 옮김: 왕은철 / 삼천리
내일을 위한 아프리카 공부 : 아프리카가 이주위기, 기후위기, 일자리위기, 감염병위기를 극복하는 방법2022 / 지음: 우승훈 / 힐데와소피
사회양극화 극복을 위한 사회정책 구상2007 / 신동면 엮음 / 풀빛
세계로 가는 길목을 잡아라2002 / 이종찬 지음 / 한국방송출판
중국의 사회보장2006 / 오정수 / 집문당
촛불, 그 65일의 기록2008 / 경향닷컴 촛불팀 엮음 / 경향신문사
공익제보 하지마세요 : 딴지일보가 만난, 그 이후의 삶 2019 / 지음: 인지니어스, 코코아 , 챙타쿠 , 죽지않는돌고래 / 들녘
같은 주제의 책
(장수의 악몽) 노후파산2016 / 가마다 야스시, 이타가키 요시코, 하라 다쿠야, NHK 스페셜 제작팀 지음 , 김정환 옮김 / 다산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