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CDATA[본 연구는 기술경영과 혁신이론의 공유가 부족한 영상기술 분야에 진화경제학적 관점과 혁신체제론(Systems of Innovation)을 도입하여 현재 세계적인 변화의 양상을 점검하고 한국 영화산업의 현황을 점검한 후, 한국의 전략산업 도출하고 R&D 사업 모델 및 수행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2장에서는 혁신체제론이 제공하는 연구의 틀을 문헌을 통해 고찰한다. 제3장에서는 본격적인 한국 영화산업 분석에 앞서 현재 영상기술 분야의 기술 동향 분석을 통해 현재 영화산업이 당면한 기술적 과제를 거시적 차원에서 살펴보았는데, 기술경제 패러다임을 참고하였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요약문
l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 구성 및 방법
ll 이론적 배경
1. 기술경제팩러다임
2. 복합제품시스템(CoPS)
3. 산업혁신체제론
4. 연구의 틀
lll 기술변화와 영화예술의 패러다임 변화
1. 기술 변화와 예술의 패러다임
2. 영화예술 패러다임의 변화
3. 새로운 패러다임: 디지털 시네마와 3D 혁명
lV 한국의 기술수준과 전략분야
1. 3D 시네마 제작기술에 대한 이해
2. 수준조사 및 전략분야 도출 방법
3. 3D 시네마 기술문류
4. 3D 시네마 기술수준조사
V 한국영화산업의 혁신체제
1. CoPS로서의 영화산업
2. 한국 영화산업의 혁신체제 분석 - 지식 및 기술
3. 한국 영화산업의 혁신체제 분석 - 시장수요
4. 한국 영화산업의 혁신체제 분석 - 제도적 특징
5. 한국 영화산업의 혁신체제 분석 - 행위자 및 네트워크의 특징
6. 한국 영화산업 혁신체제의 특성
Vl 3D 시네마 R&D 진흥사업의 틀 설계
1. 진흥사업에 대한 기술정책적 접근
2. 한국의 선도적 산업분석
3. 선진국 분석 관점
4. CoPS 관점
Vll 3D 시네마 R&D 진흥사업의 방향
1. 진흥사업 모델
2. 연구개발 진흥사업 수행방안 모델 탐색
3. 3D 시네마 R&D 사업 수행방안
Vll 결론
참고문헌
〈부록1〉 3D 영상기술과 입체영화에 관한 설문조사 설문문항
〈부록2〉 2010년 영화진흥위원회 기술수요 및 수준조사